농구/NBA
[마이데일리 = 안양 김진성 기자] 전자랜드가 실책을 쏟아내며 자멸했다. KGC는 화려한 쇼타임으로 안양 팬들을 즐겁게 했다.
전자랜드는 한동안 흐름이 좋지 않았다. 그러나 김지완이 가세하면서 앞선의 활동량이 풍부해졌다. 21일 KGC와의 원정경기에 박찬희가 고관절 부상으로 결장했지만, 김지완의 가세로 큰 부담은 아니었다. 역시 풍부한 수비 활동량과 트랜지션을 중시하는 KGC와 좋은 승부가 예고됐다.
그러나 전자랜드는 초반부터 턴오버가 너무 많았다. 김지완과 머피 할로웨이가 3개씩 범했다. 경기의 중심을 잡아야 할 가드와 빅맨의 불안한 플레이. 전자랜드는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더구나 KGC는 특유의 트랩을 섞은 하프라인 프레스를 거의 하지 않았다.
KGC는 전자랜드의 자멸로 잡은 찬스를 착실히 점수로 연결했다. 박지훈은 최근 공격형 1번에 많이 적응한 모습이다. 1쿼터에는 크리스 맥컬러, 2쿼터에는 브랜든 브라운을 착실히 활용하면서, 문성곤, 박형철, 변준형 등 국내 롤 플레이어들의 외곽 공격도 직,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그러면서 특유의 공격적인 성향도 유지했다. 과감하게 공격에 가담하며 활로를 뚫었다.
전자랜드는 할로웨이는 물론, 트로이 길렌워터의 응집력도 좋은 수준이 아니었다. 자연스럽게 브라운이 주도권을 잡았다. 브라운은 자신보다 큰 선수를 공략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리듬을 빼앗은 뒤 빠른 돌파와 정확한 외곽슛을 선보였다.
전자랜드의 실책이 3쿼터 초~중반에 또 다시 집중되면서, 스코어는 좀 더 벌어졌다. KGC는 브라운이 길렌워터를 상대로 수 차례 득점했다. 리바운드 응집력도 좋았다. 전자랜드는 3쿼터 막판 길렌워터가 공격에서 활로를 뚫었지만, 좀처럼 추격하지 못했다.
4쿼터에도 계속 비슷한 흐름. 길렌워터는 공격에선 적극성을 보여줬지만, 수비와 리바운드 등에서 힘을 보태지 못했다. 반면 브라운은 박지훈에게 성실하게 스크린을 하고, 변준형의 3점포를 돕는 등 충실히 팀을 이끌었다. 박지훈은 해결사 기질까지 보여줬다. 결국 KGC의 84-74 완승.
KGC는 15일 SK에 의해 6연승이 끊긴 뒤 허훈이 빠진 KT, 재정비한 전자랜드를 잡고 SK의 대항마임을 증명했다. 오세근이 빠졌지만, 풍부한 국내 롤 플레이어들의 공수 활동량으로 오히려 매력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전자랜드는 길렌워터 합류 후 좀처럼 탄력 받지 못한다. 이날 턴오버만 17개. 수비와 활동량에서 비교우위인 섀넌 쇼터가 묘하게 떠오른다. 다만, 내, 외곽에서 해결사 기질이 확실한 길렌워터에 의한 효과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지훈. 사진 = KBL 제공]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