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김나라 기자] 배우 이제훈과 박정민이 영화 '파수꾼'에 이어 '사냥의 시간'으로 9년 만에 뭉쳤다. 또 한 번 관객들을 놀라게 할 역대급 앙상블을 예고한 두 사람이다.
31일 오전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선 영화 '사냥의 시간' 제작보고회가 열렸다. 연출을 맡은 윤성현 감독과 출연 배우 이제훈, 안재홍, 최우식, 박정민, 박해수 등이 참석했다.
'사냥의 시간'은 지난 2011년 영화팬들을 사로잡은 웰메이드 작품 '파수꾼'(2011)의 주역들인 윤성현 감독, 이제훈, 박정민이 다시 한번 의기투합하며 제작 단계부터 주목을 이끈 바 있다.
윤성현 감독과 일찌감치 '사냥의 시간'에 뛰어든 이제훈은 "윤성현 감독님, 박정민과 항상 다시 모이길 꿈꿔왔는데, '사냥의 시간'으로 재회해 너무나 기분이 좋았다"라고 남다른 애정을 과시했다.
9년 전과 비교해 달라진 점이 있었느냐는 물음에 "'파수꾼'이 독립영화이다 보니까 아무래도 열악한 부분이 있었다. 식사도 김밥이나 도시락으로 때웠다. 지금은 밥차가 오는 등 먹을거리가 풍부해졌다"라고 짚은 뒤, "그 외에는 두 사람 다 똑같다. 9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변한 게 하나도 없다. 촬영 현장 분위기도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끈끈한 팀워크를 자랑했다. 이제훈은 "박정민뿐만 아니라 안재홍, 최우식, 박해수 등 좋은 배우들과 앙상블을 맞추다 보니 '파수꾼' 때 생각이 많이 났다"라며 "'사냥의 시간' 촬영 당시 솔직히 춥고 힘들었지만, 동료들 덕분에 버틸 수 있었고 즐겁게 촬영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박정민 또한 "저도 (이)제훈 형과 마찬가지이다. 그 긴 시간 동안 계속 만나고 얘기하며 지내왔기에 달라진 점은 모르겠다. 9년 전을 한 번에 돌아보면 변화가 있겠지만, 함께 변화를 겪어서 없다고 생각하는 거다"라고 오랜 우정을 엿보게 했다.
그는 "변한 게 있다면 현장 사이즈가 커졌고 장비들이 많아졌고 스태프 인원 수도 늘었다는 거"이라며 "제훈이 형을 포함한 배우들이 인기가 생겨서 커피차도 온다. 오늘도 '쌀화환'이 오지 않았나. 외부적인 환경만 바뀌었다. 저희의 본질적인 건 '파수꾼' 때와 마찬가지로 거의 변한 게 없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사냥의 시간'은 이제훈과 박정민부터 안재홍, 최우식, 박해수 등 충무로 젊은 피의 조합이 돋보인다. 이에 이제훈과 박해수는 "젊은 배우들의 혈기왕성한 에너지가 관람 포인트"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이제훈은 "'사냥의 시간'처럼 젊은 배우들 여러 명의 앙상블을 볼 수 있는 작품이 없었던 것 같다"라며 차별점을 강조하며 "젊은 배우들이 혈기왕성한 에너지를 표현하는 우리 영화를 꼭 봐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다"라고 당부했다.
윤성현 감독은 전작 '파수꾼'보다 업그레이드된 볼거리를 예고, 호기심을 유발했다. 그는 "전작인 '파수꾼'은 구조가 복잡한 드라마 중심이고 리얼리티에 초점을 맞춘 영화라면, '사냥의 시간'의 경우는 그 반대의 표현을 담은 작품"이라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추격전, 긴장감에 초점을 맞췄다"라며 "이야기 구조도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영화다. 기존 한국영화와 달리 할리우드의 추격전 '죠스' '터미네이터' '매드맥스' 등과 같은 형태를 생각을 하면서 만들었다. 이야기나 대사 위주의 영화가 아니다. 또 단순하지만 디테일한 표현은 살아있다. 시네마틱한 음악과 사운드, 호흡감과 배우들의 표정으로 완성된 작품인데, 그런 부분에서 '파수꾼'과도, 많은 한국영화와는 다른 방향성을 가진 영화다"라고 소개했다.
윤성현 감독은 "시대적 배경 같은 경우는 근미래라고 설정하긴 했지만, 우화적이고 은유적으로 디스토피아 세계관을 만들었다. 하위 문화가 포함된 디스토피아다"라며 "무슨 뜻이냐면 빈민가에서부터 생긴 문화들을 굉장히 많이 차용했다. 하위 문화를 젊은 배우들이 표현하면서 생기는 색다른 지점이 있다"라고 밝혔다.
'사냥의 시간'은 새로운 인생을 위해 위험한 작전을 계획한 네 친구들과 이를 뒤쫓는 정체불명의 추격자, 이들의 숨 막히는 사냥의 시간을 담아낸 추격 스릴러물이다.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제70회 베를린국제영화제'의 '베를리날레 스페셜 갈라 섹션'에 한국 영화 최초로 초청받았다. 오는 2월 개봉 예정.
[사진 = 유진형 기자 zolong@mydaily.co.kr]
김나라 기자 kimcountry@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