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종합
[마이데일리 = 고동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한국에서 스포츠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 현황을 조사한 '2019 스포츠산업 실태조사(2018년 기준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18년 기준 사업체 수는 10만 3145개로 조사돼 전년 10만 1207개 대비 1.9% 증가했다. 매출액은 약 78조 원으로 전년 74조 7000억 원 대비 4.5% 증가했고 종사자 수 역시 43만 5000명으로 전년 42만 4000명 대비 2.6% 증가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에서 매출액이 전년대비 4.5% 증가한 것은 5년간 연평균 성장률(3.6%, 2017년 기준)을 상회하는 수치로 최근 스포츠산업 규모는 3% 내외의 꾸준한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라며 "이는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서 스포츠산업의 높은 성장잠재력을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된다"라고 전했다.
업종별로는 스포츠 시설업의 성장세가 뚜렷했다. 스포츠 시설업 매출액 규모는 전년 대비 큰 폭으로 확대(13.1%, 17조 5000억 원 → 19조 8000억 원) 돼 전체 스포츠산업 성장을 이끌었다.
스포츠 용품업(1.1%, 34조 원→34조 3000억 원)과 스포츠 서비스업(3.0%, 23조 1000억 원→23조 8000억 원)은 스포츠 시설업 대비 완만한 성장 추세를 보였다.
스포츠 시설업의 경우, 수영·볼링·당구장 등 세부업종별 매출액이 전반적으로 증가한 가운데 특히 체력단련시설 운영업(5100억원, 36% 증가), 골프연습장 운영업(3900억원, 24% 증가), 종합스포츠시설 운영업(2500억원, 26%증가) 매출액이 크게 증가했다.
문체부는 "이는 건강과 생활 스포츠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 증가로 스포츠 참여 수요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라고 했다.
매출액 10억 원 이상 기업의 비중은 2018년 기준 6.4%로 전년 6.2% 대비 소폭 증가했고, 종사자 10인 미만 기업의 비중은 2018년 기준 95.1%로 전년 95.9% 대비 감소해 스포츠산업 기업의 영세성은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영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도 8.4%로 전년 8.2%에 비해 소폭 증가했지만, 여전히 스포츠산업 내실 강화가 필요한 상황이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지역별로는 여전히 수도권(서울·인천·경기) 내에 사업체(47.0%), 매출액(67.9%), 종사자(56.0%)가 몰려 있어(2017년 각각 47.7%, 67.8%, 56.8%) 스포츠산업 내 지역적 불균형 문제는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할 과제로 남았다"라고 덧붙였다.
문체부는 "이번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정책 지원을 강화한다"라고 밝혔다.
스포츠 금융(융자·펀드, 762억 원, 전년대비 350억 원 증가), 기업 성장단계별(창업→중소→선도기업) 맞춤형 경영 지원(201억 원, 전년대비 29억 원 증가), 지역스포츠산업 육성(211억 원, 전년대비 66억 원 증가) 등 2020년 스포츠산업 지원 규모를 전년 대비 32.4%(약 684억 원) 상승한 2795억 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는 국민들의 스포츠 참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스포츠 시설업이 큰 폭으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산업 내실 강화가 여전한 숙제로 남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스포츠산업이 체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인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고동현 기자 kodor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