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 로그인
  • 회원가입
  • 경제금융
  • 산업IT
    • 산업
    • IT/과학
    • 중소기업
    • 자동차
  • 라이프
    • 생활일반
    • 제약바이오
    • 패션뷰티
    • 여행레저
  • 사회
    • 사회일반
    • 지역
    • 보건
  • 연예
    • 방송
    • 영화
    • 음악
    • 해외연예
    • 일반
  • 프로야구
    • 야구
    • 해외야구
  • 해외축구
    • 해외축구
    • 축구
  • 스포츠
    • 배구
    • 농구
    • 골프
    • e스포츠
    • 격투기
    • 스포츠종합
  • 사진/영상
    • 연예
    • 스포츠
    • 경제산업
    • 영상
  • 랭킹빌더
  • 다음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유튜브 공유
  • 검
검색
마이데일리 메뉴닫기
  • 최신기사

  • 경제금융

  • 산업IT

    • 산업
    • IT/과학
    • 중소기업
    • 자동차
  • 라이프

    • 생활일반
    • 제약바이오
    • 패션뷰티
    • 여행레저
  • 사회

    • 사회일반
    • 지역
    • 보건
  • 연예

    • 방송
    • 영화
    • 음악
    • 해외연예
    • 일반
  • 스포츠

    • 배구
    • 농구
    • 골프
    • e스포츠
    • 격투기
    • 스포츠종합
  • 프로야구

    • 야구
    • 해외야구
  • 해외축구

    • 해외축구
    • 축구
  • 화제

  • 기자연재

  • 사진/영상

    • 연예
    • 스포츠
    • 라이프
    • 영상
  • 돈버는퀴즈

  • 랭킹빌더

뮤직

삶과 시간을 노래하다, 텔레플라이 3집 '그랬고, 그렇게 언제나'[음반리뷰]

시간2020-07-02 15:05:41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0
  • 가
  • 가
  • 카카오톡에 공유하기카카오톡
  • 페이스북에 공유하기페이스북
  • 트위터 공유하기트위터
  • 네이버블로그에 공유하기URL복사
  • 네이버블로그에 공유하기네이버블로그
URL복사

[김성대의 음악노트]

세 번째 앨범이다. 척박한 씬에서 대중이 잘 모르거나 어려워하는 음악을 하며 여기까지 온 텔레플라이에게 일단 조건없는 응원의 박수를 먼저 보낸다. 솔직히 말해 1집은 그들의 색을 내기엔 어딘가 모자랐고, 2013년 미니앨범 [Avalokitesvara]도 주제 면에선 그들다웠지만 음악에선 역시 눈에 보이지 않는 '훈수'가 느껴졌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어쩌면 이들의 진짜 시작은 2집 [무릉도원]부터였을지 모른다. 이 작품에서 텔레플라이 또는 김인후(보컬, 기타, 작사/곡)는 그야말로 자신이 추구했던 사상과 장르를 가장 주체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해냈었다. 당시 이들이 앨범의 출처에 괜히 ‘자체제작’을 첨부하진 않았을 터. 결국 그 표기는 ‘이 앨범부터가 진정한 우리 음악’이라는 선언과 같았다. 이어 이듬해 낸 두 번째 미니앨범 [달빛에 눈먼 자들]은 더 무르익고 절제된 블루스 록을 들려주며 텔레플라이라는 밴드가 자신들의 색깔 혹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들려줄 또 다른 출발선에 섰다는 걸 예감케 했다. 그리고 이번 3집은 바로 그 예감에 대한 걸출한 자기증명처럼 들린다.

음반을 걸면 ‘워크맨’이라는 곡이 LP의 검은 침묵을 가장 먼저 깬다. 이들 음악에 사이키델릭이라는 단서를 붙이기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근거가 될 아지랑이 같은 기타 인트로 이후 조금은 낯선 관악기가 하나 등장하는데 바로 서양의 피리 플룻이다. 이 자연스럽고 자유로운 연주는 플루티스트 김수환의 솜씨로, 한 내성적인 아이(김인후)가 어머니가 사주신 워크맨으로 꿈과 행복을 탐닉한 시절 느낀 설렘을 정처없이 흐르는 멜로디에 잘 녹여내고 있다. 이 플룻 연주는 곡 중후반에서 완전히 다른 서정적 기류를 형성하는 실로폰 같은 멜로디 훅과 함께 곡에 살가움을 더했다. 또 김인후가 막판에 짧게 도발한 기타의 몸서리는 톰 모렐로를 좋아한 자신의 과거를 듣는 이들이 슬쩍 엿볼 수 있게 한 기억의 단면처럼 보인다. 드러머 오형석이 이끄는 곡의 전체 리듬은 이전에도 이들이 즐겨한 레게 느낌에 간간이 아프리칸 스타일도 뒤섞여 천천히 출렁인다.(이 느낌은 맥락은 조금 달라도 나중 곡 ‘너의 미소를 보여줘!’에까지 이어진다.) 허정현이 시작부터 제시한 베이스 프레이즈는 얼핏 레드 핫 칠리 페퍼스가 1991년에 연주한 ‘Mellowship Slinky In B Major’라는 곡을 떠올리게 한다. 레게와 레드 핫 칠리 페퍼스라. 자유롭고 흥겨울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눈치 챘겠지만 이 앨범은 김인후의 자기 고백이다. 사회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 내지는 방식에 관한 생각을 노래한 ‘그림자’ 정도를 제외하면 모든 곡들이 김인후의 경험, 그가 처했던 상황을 다뤘다. 두 번째 곡 ‘나도 알아’도 마찬가지다. 김인후가 노래를 부르기 시작하는 ‘나도 알아’의 영문 제목은 바로 ‘Blues For Me’. 영원할 것 같던 친구도 사랑도 신념도 결국 순간에 불과해 세월에 따라 변해갈 수 밖에 없음을 말한 이 곡의 기타 연주에서 우리는 웨스 몽고메리와 조 패스, 찰리 정을 동시에 만날 수 있다. 모르긴 해도 김인후가 말한 “모두의 블루스”란 바로 이것 때문이 아니었을까.

자신을 웃게 만드는 좋은 사람들을 김인후 역시도 자신의 힘(음악)으로 웃게 만들고 싶다는 ‘너의 미소를 보여줘!’는 제목처럼 발랄한 프레이즈로 듣는 사람을 미소짓게 만든다. 으쓱거리는 레게 리듬을 찢고 신중하게 터져나오는 김인후의 기타 솔로는 그의 말처럼 내밀한 정수만을 추구하는 바둑의 한 수를 연상시킨다. 이런 그의 블루스에선 하울링 울프나 지지탑, 로버트 크레이의 느낌보단 앨버트 콜린스가 ‘Cold Cold Feeling’ 같은 곡에서 들려준 정서가 더 진하게 묻어난다. 이 곡은 김인후가 이번 앨범에서 가장 만족스럽게 녹음한 트랙으로 알려져 있다.

‘별을 따라간 소년’의 또 다른 제목은 ‘B612’인데 그 유명한 어린왕자가 사는 소행성이다. 김인후가 “꿈과 잠재력이 가득했던 시기, 성장이라는 고통에 잘 적응하지못해 일어난 반작용이 이상한 낙천성으로 자리한 때를 노래했”다고 밝힌 이 곡은 앨범에서 가장 재지한 지점으로, 드럼과 베이스가 지탱하는 텅빈 공간감과 김인후의 기타 솔로로 확인되는 꽉찬 기타 톤이 편안한 대비를 이루며 곡을 반투명으로 만든다. 중간에 더해진 김인후의 허허로운 휘파람이 가장 개인적인 속사정을 다룬 곡임을 조용히 암시하고 있다.

곧바로 치고 들어오는 기타 솔로가 하릴없이 지미 헨드릭스의 ‘Little Wing’을 떠올리게 하는 ‘주책없는 눈물’은 “어느 가을날 종로의 포장마차”라는 구체적인 장소 설명에 ‘Dear Friend’라는 영어 제목이 겹치면서 자연스레 ‘친구와 포장마차에서 술을 마시다 주책없이 흘린 눈물’을 추억한 곡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 곡에는 이 앨범에서 가장 인상적인 기타 솔로가 숨어 있는데, 왈츠로 템포가 바뀌는 후반부에서 그 솔로는 기탄없이 펼쳐진다. 내가 좋아하는 부류의 슬프면서 아름다운 멜로디 연주였는데, 때문에 들으며 ‘좀 더 길었으면’ 한 바람이 있었다.

다음 트랙은 ‘그림자’로 남과 나를 볼 때 되도록 같은 기준, 그러니까 태양과 달빛 어디에도 스미는 그림자를 바라보면 결국 남는 건 각자 주장과 입장, 사연 뿐이라는 주장을 담은 곡이다. 슬라이드 바로 힘차게 문을 여는 이 곡은 덕분에 앨범에서 가장 정통 블루스에 가까운 넘버로 들린다. 이는 스튜디오 합주로 원테이크 녹음을 지향한 밴드의 의지가 가장 잘 드러난 부분이기도 한데, 역시 곡 중반부를 달구는 김인후의 후련한 기타 솔로가 마지막 거친 리프 톤과 더불어 트랙의 숨통을 터주고 있다.

끝으로 김인후가 자신의 신념이라고 밝힌 ‘흐르는 강물처럼’은 노자의 도덕경에서 가져온 한 구절(대성약결기용불폐, 大成若缺 其用不弊) 즉, 크게 이룬 것은 모자란 듯 보여도 그 쓰임은 끝이 없다는 말을 지난 앨범의 곡 ‘블루스의 왕(King Of The Blues)’과 결부시켜 이야기를 풀어가는 트랙이다. 영어 제목처럼 이 곡을 통해 그는 블루스의 왕을 넘어 블루스와 ’불멸(lmmortality)’ 하리라는 “신의 영역”을 음악으로 토해낸 듯 보인다. 김인후와 텔레플라이가 늘 천착해온 동양사상 아래 날것의 호연지기가 그야말로 강물 같은 기타 연주를 타고 나풀나풀 흘러간다.

언젠가 한 심리학자는 “좋은 음악은 어디서 들어본 듯한 익숙한 음과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음이 서로 조화롭게 중첩돼 음악의 전체 의미를 듣는 이의 내면에서 솟아오르게 만든다”고 했다. 텔레플라이의 3집이 그런 음악이다. 익숙하되 생소하고 겉의 의미는 깊은 내면에서 비로소 완성된다. 이들의 음악은 항상 “그랬고, 그렇게 언제나” 흘러갈 것이다.

[사진제공=텔레플라이]

*이 글은 본사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필자약력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마이데일리 고정필진

웹진 음악취향Y, 뮤직매터스 필진

대중음악지 <파라노이드> 필진

네이버뮤직 ‘이주의 발견(국내)’ 필진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 썸네일

    ‘최동석과 이혼’ 박지윤, “내가 무기력을 떨치는 방법”

  • 썸네일

    "왜 그렇게 멋있는건데?" 조세호·남창희 반전 비주얼

  • 썸네일

    이홍기, 16년 만에 대학축제…경성대 무대서 ‘찢었다’

  • 썸네일

    박보영, 귀여움 실물화됐다… 인형보다 눈길 가는 '뽀블리' 미소

댓글

등록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많이 본 뉴스

  • 박서준, 손흥민 첫 우승 트로피 함께 들었다…'찐친' 인증

  • 박보미, 아들상 2년만 임신 "2번 유산 후 찾아온 기적 같은 생명" [전문]

  • '9세 연상♥' 손연재, 72억 자택에서 현실 육아…신상 든 아들에 진땀

  • "케인을 넘는 토트넘 현대사 최고의 선수로 평가받을 것"…'17년 만의 무관 탈출' 트로피 들어 올린 SON, 전설로 남는다

  • ‘55kg 감량’ 최준희 루프스 부작용, “컵라면 6개+삼각김밥 미친 듯이 먹어”

베스트 추천

  • ‘최동석과 이혼’ 박지윤, “내가 무기력을 떨치는 방법”

  • "왜 그렇게 멋있는건데?" 조세호·남창희 반전 비주얼

  • 이홍기, 16년 만에 대학축제…경성대 무대서 ‘찢었다’

  • 박보영, 귀여움 실물화됐다… 인형보다 눈길 가는 '뽀블리' 미소

다른 사람들이 많이 본 기사

  • 숨막히는 수영복 화보 공개한 섹시여돌

  • 초등학교 교실에서 XX한 남녀교사 발각

  • 월드스타가 군대에서 울면서 전화한 이유

  • 음주운전 말리자 귀 물어뜯은 30대 남자

  • 터질 듯한 수영복 몸매 노출한 개그우먼

해외이슈

  • 썸네일

    코난 오브라이언, ‘토이스토리5’ 전격 캐스팅 “우디나 버즈 원했는데…”[해외이슈]

  • 썸네일

    톰 크루즈는 팝콘을 좋아해, “영화 볼 때마다 2~3통씩 먹어”[해외이슈](종합)

기자 연재

  • 썸네일

    트리플에스 곽연지 '격렬한 춤에 흘러내린 옷' [한혁승의 포톡]

  • 썸네일

    기은세 '보기만 해도 -5℃ 낮아지는 청량 패션' [한혁승의 포톡]

인터뷰

  • 썸네일

    '기타맨' 감독 "故 김새론 카페 알바 맞아…사진 찍힐까 늘 눈치" [MD인터뷰②]

  • 썸네일

    '기타맨' 감독 "故 김새론, 겸손하고 따뜻했던 친구" [MD인터뷰①]

  • 썸네일

    '언슬전' 신시아 "못생기게 울어서 좋다고? 오히려 감동" [MD인터뷰④]

  • 썸네일

    "대사 읽자마자…신원호 감독님 OK 사인 받아"…신시아, 표남경 그 자체였다 [MD인터뷰③]

  • 회사소개
  • 고객센터
  • 광고·제휴문의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사이트맵
  • RSS 서비스
마이데일리

등록번호 : 서울 아00063 | 등록일 : 2005년 9월 15일 | 발행일자 : 2004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 : 이석희
청소년 보호 책임자 : 김민희 마이데일리(주) 서울시 중구 을지로 11길 15, 408호 마이데일리 (수표동, 동화빌딩)(우: 04543)
편집국대표전화 : 02-785-2935 | 전략기획실대표전화 : 02-785-2932
마이데일리의 모든 콘텐츠(사진,영상,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자동화된 수단(로봇·봇, 스크래퍼 등)을 이용한 수집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