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김진성 기자] "네가 더 잘하려면 4번이 아니라 3번으로 뛰어야 한다."
오리온은 경기를 치를수록 트리플포스트 가동시간을 줄인다. 장점보다 단점이 많기 때문이다. 골밑 수비와 리바운드는 좋지만, 지역방어의 외곽 커버(느린 발 때문에)와 공격(스페이스 문제) 생산력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고민이 있다. 더블포스트를 쓰면서 오히려 이대성과 이승현 조합에 집중한다. 트리플포스트를 가동해도 제프 위디 대신 디드릭 로슨~이승현~이종현 조합으로 나서는 경우가 많다.
위디는 골밑에서 받아먹는 루트 외에 공격력에 한계가 있다. 다만, 시즌 초반보다 이대성, 한호빈과의 2대2 호흡이 많이 좋아졌다. 이종현도 생산력이 다소 떨어진다. 강을준 감독은 "종현이가 미드레인지에서 공간만 나면 슛을 쏴야 한다"라고 했다. 그러나 주춤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공격에선 더블포스트든 트리플포스트든 이승현에 대한 부하가 크다. 이승현과 위디가 함께 뛸 때, 승부처에 위디를 버린 수비수가 이승현에게 더블팀을 가는 경우도 많다. 영리한 이승현이 잘 풀어내면서 넘긴다. 26일 전자랜드전 막판 이대성의 결정적 3점포도 그렇게 나왔다.
더블포스트의 경우 이승현과 로슨 조합이 공격적으로 가장 위력적이다. 그러나 위디의 수비력을 살리기 위해 로슨의 출전시간을 조절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로슨도 기복을 보인다. 강 감독은 "득점력을 생각하면 로슨을 오래 뛰게 하면 되는데 위디 활용도 생각해야 한다"라고 했다. 공격력 강화를 위해 수비와 리바운드가 확실한 위디를 쓰지 않을 수 없다.
빅라인업의 또 다른 카드, 플랜B가 최현민이다. 현대모비스, KCC와의 삼각트레이드 당시 오리온에서 가장 주목 받은 선수는 이종현이었다. 이종현과 함께 오리온 유니폼을 입은 최현민은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알고 보면 오리온이 꽤 쏠쏠하게 활용할 수 있는 카드다. 올 시즌 득점력에 고민이 있는 오리온으로선 최현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195cm에 3~4번 수비가 가능하다. 스위치를 해도 미스매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오리온의 또 다른 고민은 허일영의 백업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허일영은 손목 부상 이후 슛 밸런스가 살짝 흐트러졌다. 최근 페이스가 썩 좋지 않다. 그래서 강 감독은 최근 최현민을 3&D로 활용한다. 이적 후 10경기서 평균 7분44초 동안 2.5점 1.2리바운드 0.4어시스트.
26일 전자랜드전서 시즌 최다 20분39초간 3점슛 3방을 터트렸다. 흐름상 상당히 중요한 9점이었다. 오리온 이적 후 3점슛 성공률은 41.7%(5/12). 강 감독은 최현민을 3번으로 기용한다. KGC와 KCC에선 3~4번을 오갔지만, 오리온은 국가대표 4번 이승현에 빅맨 이종현이 있다.
강 감독은 최현민에게 "네가 더 잘하려면 4번이 아닌 3번으로 뛰어야 한다"라고 했다. 팀 사정을 감안할 때 그렇다. 리바운드와 궂은 일에 능하면서 외곽슛 능력이 있다. 최근 수비도 괜찮았다. 즉, 최현민은 오리온의 공수밸런스를 좀 더 좋게 할수 있는 카드다.
오리온은 올 시즌 78.7점으로 리그 득점 9위다. 3점슛 성공률도 33.3%로 8위. 오펜시브레이팅(100번의 공격기회에서 득점 기대치)도 106.2로 8위. 반면 턴오버는 11.3개로 리그 4위다. 이 수치들을 향상 혹은 정상화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더블포스트와 트리플포스트의 생산력 향상이 필요하다. 턴오버도 줄여야 한다. 그리고 최현민이 좀 더 분발하면 오리온 공격력 향상에 보탬이 될 수 있다.
최현민은 "이적 후 코치님들이 슛을 많이 잡아줬다. 승현이와 대성이도 패스를 주면서 자신 있게 던지라고 했다. 심적으로 편안해졌다. 일영이 형처럼 전문 슈터는 아니지만, 많이 도움을 받는다. 직전 팀에선 많이 못 뛰다 보니 감각이 떨어졌다. 오리온에선 마음 편하게 뛸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라고 했다.
[최현민.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 DB]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