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1970년대 평화시장 소녀 미싱사들의 과거와 현재를 다시 그리며 감동과 치유를 선사하는 영화 '미싱타는 여자들'이 실제 주인공들의 인터뷰와 다양한 자료를 담아낸 대규모 아카이빙 프로젝트로 눈길을 끌고 있다.
제25회 부산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경쟁 부문 진출 및 제13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 공식 초청되며 개봉 전부터 화제를 모았던 영화 '미싱타는 여자들'이 1970년대 평화시장 여성 노동자들의 실제 자료들을 모아 놓은 대규모 아카이빙 프로젝트로 주목받고 있다. '미싱타는 여자들'은 여자라서 혹은 가난하다는 이유로 공부 대신 미싱을 탈 수밖에 없었던 1970년대 평화시장 여성 노동자들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통해 세상의 편견 속에 감춰진 그 시절 소녀들의 청춘과 성장을 다시 그리는 휴먼 다큐멘터리이다.
'미싱타는 여자들'은 1970년대 평화시장 ‘전태일’ 열사의 죽음 이후 그의 어머니와 친구들이 결성한 ‘노동조합’과 ‘노동교실’에 얽힌 여성 노동자들의 특별한 청춘기를 담은 작품이다. 당시 소녀 미싱사로 일했던 ‘이숙희’, ‘신순애’, ‘임미경’ 세 주인공과 더불어 그들과 함께 평화시장에서 젊은 시절을 보냈던 11명의 노동자들이 40년 만에 다시 만나 자신들의 과거를 추억하고 현재를 다시 그린다.
같은 시절을 공유하는 여러 인물들의 인터뷰와 대화를 통해 그들의 젊은 날을 새롭게 기록한 영화는 과거 여성 노동자들의 다양한 경험과 추억을 제공함과 동시에, 누구나 간직하고 있는 빛나는 시절에 대한 회상과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에 대한 생생한 증언을 담아냈다.
특히, ‘노동교실’에서 보낸 행복했던 시간이 담긴 과거 사진은 영화 곳곳에 등장해 그 시절 소녀들의 풋풋함과 열정을 몸소 느끼게 해주며, 5060세대에게는 과거의 나와 내 친구의 모습을, 3040세대에게는 엄마의 젊은 시절의 모습을, 그리고 1020세대에게는 또래 친구를 마주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며 세대별 각기 다른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영화는 그들이 직접 작성했던 문집 속 글과 주고받았던 편지 등 당시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청춘 시절의 추억을 재현한다. 특히, 40년 전 쓴 글을 직접 낭독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은 그들이 느꼈던 솔직한 감정을 고스란히 전해주며 우리가 알지 못했던 ‘진짜’ 여성들의 이야기를 마주하게끔 만든다. 그들의 사연을 기록하는 작업은 2018년 김정영 감독의 봉제 노동자 32인 구술생애사 인터뷰에서 시작되었는데, 이후 영화는 주인공들이 제공한 개인 자료와 함께 전태일기념관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장 청계피복노동조합 관련 기록들을 활용하여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여성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대규모 아카이빙을 탄생시켰다.
실제로 이혁래 감독과 김정영 감독은 약 한 달여의 시간 동안 촬영을 멈추고 자료를 직접 확인,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그 시절 소녀 미싱사들이 느꼈던 감정을 생생하게 복원시켰다. 이처럼 다양한 구술과 사료를 통해 40년 전의 나와의 재회를 구현한 '미싱타는 여자들'은 관객들의 눈앞에 추억을 소환하며 깊은 감동과 향수를 전할 예정이다.
실제 당사자들의 인터뷰부터 다양한 사진, 글을 통해 1970년대 여성 노동자들의 그때 그 감정과 기억을 새롭게 재현한 '미싱타는 여자들'은 2022년 1월 개봉하여 관객과 만난다.
[사진 = 영화사 진진]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