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 /국민의힘 홈페이지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인하대 성폭행 사망 사건’과 관련해 ‘남성 가해자, 여성 피해자’ 프레임으로 바라봐선 안 된다고 강조한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발언에 박민영 국민의힘 대변인이 맞장구쳤다.
이데일리에 따르면 박 대변인은 지난 24일 오후 페이스북에 “김 장관께서 아주 잘 말씀하셨다”며 김 장관의 인터뷰 내용을 공유했다.
그는 “‘여자라서 죽었다’는 구호로 대표되는, 모든 문제를 젠더 이분법으로 해석하는 극단이 더 이상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불안을 부추기고 성별 대결 구도를 만들어 ‘피해 형량’의 소모적인 갈등 상황만을 초래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역지사지로 산업재해 피해자의 99%는 남성이다. 군대에서 발생하는 각종 사고의 피해자 역시 99%가 징집된 남성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해당 사건에 대해 ‘남자라서 죽었다’고 표현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런 논리로 ‘남성 정책’을 만들어 오직 남성에게만 혜택을 주었을 때, 성별이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1%의 여성들은 정부로부터 버림받았다는 박탈감에 시달리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변인은 “지금까지의 ‘여성 정책’이 그랬다. 통계적으로 남성의 자살률이 더 높은데도, 여성의 자살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엉뚱한 이유로 오직 여성만을 위한 ‘자살방지센터’를 만들어 뭇 남성들에 박탈감을 안겼다. 그런 실책들이, 여성 정책 전반에 대한 분노로 돌아왔다”고 봤다.
그는 “굳이 한쪽 성별을 배제하지 않아도 특정 성별이 더 많이 피해받고 있다면 자연스레 그 성별에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것임에도 젠더 이분법의 함정에 빠져 해결을 요원하게 만드는 어리석음을 범한 것”이라며 “같은 실수를 반복해선 안 된다. 피해자의 성별을 부각해 갈등을 부추기는 범인들을 축출하고 철저히 인과관계에 입각한 대안 제시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그렇게 극단의 세력을 걷어내고 성별 불문, 청년들이 직면한 실질적 아픔을 들여다보는 정부, 여당이 될 수 있길 바란다”며 글을 맺었다.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왼쪽)이 22일 오전 서울해바라기센터를 찾아 아동·청소년 성폭력 피해자 영상증인신문 현황을 점검하고 센터 기능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김 장관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가진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인하대 성폭행 사망 사건과 관련해 “이건 학생의 문제지, 또 남녀를 나눠 젠더 갈등을 증폭하는 건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인하대는 학교 내 폐쇄회로(CC)TV 설치와 학생 안전 조치를 강화해야 한다”고 한 그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남성 피해자 비율이 20%가 넘는다는 통계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장관은 최근 심화한 젠더 갈등의 원인을 말하며 “젊은 남성들은 가부장적 지위를 누리거나 남성 우위 사회에 살지 않았는데 결혼할 때는 전부 남성이 집을 해와야 한다는 등 고정관념이 여전히 있다”면서 “대학에서 강의할 때 군대 다녀온 남학생들이 수업을 못 따라오는 경우도 있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또 “여성은 구조적으로 차별받는 존재라고 얘기하는데, 물론 우리 세대에는 유리천장이 존재했지만 20대들은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인천 미추홀구경찰서는 지난 22일 김모(20)씨를 준강간치사와 성폭력처벌법상 카메라 등 이용 촬영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
김 씨는 지난 15일 인하대학교 단과대 건물 3층에서 동급생을 불법촬영하며 성폭행한 뒤 숨지게 한 혐의를 받는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