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결혼 예정인 예비신부를 형제가 합동해 준강간 한 사건을 넘겨받은 검찰이, 경찰에서 발견되지 않은 동생의 DNA를 추가 발견해 형제 모두를 구속 기소한 사례 등이 올해 2분기 대검찰청의 과학수사 우수 사례로 꼽혔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대검은 다양한 과학수사 기법을 적극 활용해 실체적 진실을 발견한 2022년 2분기 과학수사 우수사례 5건을 선정했다고 25일 밝혔다.
경찰이 ‘혐의없음’ 의견으로 송치한 여성의 사망 사건을 넘겨받아 남편이 실제 범인이었음을 입증한 포항지청 장재완(現 대검) 부장검사, 이경문·최진석 검사 사례가 과학수사 우수 사례로 꼽혔다.
대검에 따르면 포항지청 수사팀은 방파제 부근에서 변사체로 발견된 피해자에 대해 세 차례에 걸친 대검 법의학 자문위원 부검 감정을 해 피해자가 사망 전 머리를 맞아 치명상을 입었음을 밝혀냈다.
또 통합심리분석을 통해 남편이 부인을 둔기로 폭행한 뒤 바다에 빠뜨렸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후 블랙박스 영상 음질 개선 등 추가 과학수사와 사건 관계인들을 대상으로 한 전면적인 보완조사·현장검증이 이어졌으며, 결국 음주와 경제력 문제로 다툼이 잦던 남편이 부인을 때려 상해를 가하고 바다에 빠뜨려 숨지게 했다는 범행(상해치사)을 밝혀냈다.
대검은 경찰이 무혐의로 송치한 간호사가 환자용 투석 필터에 이물질을 주입했다는 사실을 병실 폐쇄회로(CC)TV 분석으로 밝혀낸 대전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최영아 현 서울남부지검 인권보호부장)도 우수사례로 선정했다.
또 형과 결혼 예정인 만취한 예비 신부를 형제가 합동해 준강간한 사건에서 DNA 정밀 감정을 통해 구속 기소한 수원지검 평택지청 형사1부(부장검사 유정호 현 대전지검 형사2부장)도 우수 사례로 꼽혔다.
휴대전화 메신저 포렌식으로 살인미수의 고의성을 규명한 서울중앙지검 형사4부(당시 한기식 부장검사)와 671억원대 사기 피의자가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직전 도주하자 메신저·통화·카드사용내역 분석으로 검거한 인천지검 국제범죄수사부(당시 장준호 부장검사)도 우수 과학수사 사례로 선정됐다.
대검은 “나날이 복잡하고 교묘해지는 범죄 수법에 대응해 첨단 과학수사 기법을 연구·개발하고 수사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겠다”고 밝혔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