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
[마이데일리 = 심재희 기자] 축구에서 포지션 경쟁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주전을 노리는 선수들은 많지만, 그라운드에 나설 수 있는 이는 한정되어 있다. 당연히 치열한 다툼이 벌어진다. 이런 싸움은 동반 성장의 밑거름이 된다.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모든 선수들은 시나브로 성장하기 마련이다.
클린스만호에 부는 '스트라이커 경쟁'이 그래서 더 반갑다. 3명의 공격수들이 저마다의 장점을 바탕으로 상승세를 타고 있다. 누가 선발로 나설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반대로 누가 나와도 기대가 된다. 바람직하고 반가운 현상이다.
사실, 2022 카타르 월드컵 전까지 대표팀의 최전방은 황의조가 지켰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아경기대회 금메달 주역이 된 후로 기량이 눈에 띄게 좋아져 A팀 주전 원톱 자리를 꿰찼다. 유럽 무대에 진출하며 위력을 더했고, 그대로 '닥주전'을 굳히는 듯했다.
하지만 벤투호가 목표로 삼은 무대인 2022 카타르 월드컵 본선에서 황의조가 주춤거렸다. 가장 중요하게 여긴 조별리그 1차전 우루과이와 경기에서 결정적인 기회를 놓쳤다. 황의조답지 않은 마무리로 진한 아쉬움을 남겼다. 벤투호는 0-0 무승부에 그쳤다. 태극전사들의 투혼이 어우러지며 16강 진출을 이뤘으나, 주전 스트라이커였던 황의조는 무득점으로 대회를 마쳤다.
조규성이 기회를 잡았다. 조별리그 2차전 가나와 경기에서 멀티골을 폭발하며 환호했다. 황의조와 다른 스타일로 한국 공격에 힘을 실었다. 중앙에서 묵직하게 버텨주면서 힘으로 상대 수비와 맞대결을 펼쳤다. 그러나 조규성도 올 시즌 K리그 시작된 뒤 부진의 늪에 빠졌다. 상대 견제가 심해지고 부담이 컸다. 최근 득점포를 부활하며 다시 페이스를 되찾았다.
황의조와 조규성이 엎치락 뒤치락 하는 사이 오현규가 조금씩 올라섰다. 2022 카타르월드컵에는 임시 선수 신분으로 그저 경기를 지켜볼 뿐이었다. 그러나 대회 직후 스코티시 프리미어리그 셀틱으로 향하며 새로운 경험을 더했다. 특유의 부지런한 움직임에 골 결정력 상승을 더하며 셀틱의 우승행진에 힘을 보탰다. 그리고 이제는 당당히 대표팀 최전방 공격수 주전 싸움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3인 3색이라는 점이 더 고무적이다. 황의조는 날카롭고, 조규성은 묵직하고, 오현규는 저돌적이다. 원톱으로 최전방에 설 수 있고, 뒤진 상황에서는 함께 뛰는 것도 가능하다. 클린스만 감독으로서는 당일 컨디션과 상대에 따라 여러 가지 공격 옵션을 가동해 볼 수 있어 든든하다.
황의조가 1992생, 조규성이 1998년생, 오현규가 2001년생이다. 30대 초반 노련미를 더하는 황의조, 20대 중반 전성기로 접어드는 조규성, 20대 초반 패기로 똘똘 뭉친 오현규가 한치 양보 없는 포지션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따로 또 같이 성장해 나갈 클린스만호 최전방 공격수들의 무한경쟁이 뜨겁게 이어지길 기대해 본다.
[위 왼쪽부터 황의조-조규성-오현규, 중앙 아래로 황의조-조규성-오현규.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마이데일리 pres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