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카카오, 장애 사전테스트 허술했다
과기정통부, 카카오 연속 장애조사 및 관리 계획 점검 발표
사전테스트·작업관리 통제·매뉴얼 구체화 등 3개월 내 시정 결과 제출
[마이데일리] 황효원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이달 3차례 발생한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 관련 카카오에 시정조치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1일과 23일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의 원인과 대응·복구 현황에 대한 카카오의 통신 재난 관리계획 이행 여부를 점검했다. 이후 28일부터 30일까지 통신재난관리심의위원회를 열어 카카오의 미흡 사항에 대한 시정조치 요구사항을 심의·의결했다.
과기정통부는 카카오에 1개월 내 개선 조치계획을 수립해 제출하고 3개월 내 시정 결과를 제출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주요 작업 전 사전테스트 체계 강화, 작업 관리 통제 강화, 통신 재난 관련 매뉴얼 및 지침 보완,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장애 탐지 강화, 장애 원인 분석과 사후관리 체계화, 장애 사실 이용자 고지 개선 등에 중점을 뒀다.
앞서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는 13일(장애 시간 6분), 20일(6분), 21일(54분) 발생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13일에는 카카오가 카카오톡 서비스 운영 데이터센터의 서버 파일을 업데이트하던 중, 기존 파일을 삭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카카오는 업데이트 작업 전 사전 테스트를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20일의 경우는 네트워크 부하 분산을 위한 내부 시스템을 개선하던 중 오류가 났다. 당시 카카오는 사전 테스트를 진행했으나 개별 결과물의 테스트 환경이 실제 카카오톡 운영환경과 차이가 커 장애 가능성을 식별하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21일에는 전날 발생한 서버 오류를 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 데이터센터에 있는 다른 서버에 자바(Java)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진행한 것이 원인으로 꼽혔다.
13일과 20일 카카오톡 서비스 장애는 카카오톡 이용자 약 80%가 메시지 발신이나 수신 실패 및 지연으로 불편을 겪은 것으로 추정된다. 21일의 경우는 이용자 약 8%에게 PC용 카카오톡 로그인 실패 및 모바일 카카오톡 메시지 수발신 지연이 있었던 것으로 예상된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주는 디지털 서비스 장애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아야 한다"며 "디지털 서비스 장애는 국민 일상의 불편을 넘어 사회·경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만큼 재발 방지를 위해 사업자의 관리체계를 면밀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카카오도 국민들의 관심으로 성장한 기업인 만큼 재난·장애 관리를 위한 조직문화 개선과 함께 이용자에게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책임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