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포드, 전기차 시장 부진에 SUV 생산 취소…2조 5000억원 비용 감수
IRA 세제혜택 목적, 배터리 생산은 가속화
LG엔솔·SK온 배터리 생산 시점 앞당겨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미국 자동차 제조사인 포드가 3열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 계획을 취소하며 전기차 생산 속도 조절에 나선다. 동시에 SK온, LG에너지솔루션 한국 제조사들과 협력해 온 배터리에 대해선 생산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포드는 21일(현지시간) 전기차 사업 효율화 전략을 발표했다. 우선 포드는 소비자 수요를 반영해 대형 차량인 3열 SUV 같이 수익성이 낮은 전기차 모델은 생산 계획을 포기하기로 했다.
앞서 포드는 익스플로러와 같은 인기 있는 3열 SUV의 순수 전기차 모델을 2025년 양산한다고 발표했다가 출시 시기를 2027년으로 2년 연기했는데, 이번에는 아예 출시 계획을 백지화한 것이다.
대신 포드는 하이브리드 모델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생산 계획 취소에 따라 이미 집행된 시설투자비를 포함해 총 19억달러(약 2조5000억원)의 비용이 상각 처리되거나 추가로 지출될 예정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포드는 또 순수 전기차 생산과 관련한 연간 자본 지출 비중은 기존 40%에서 30%로 축소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상업용 전기차는 수요가 있다고 판단해 상업용 밴 전기차 신규 모델을 2026년 출시할 계획이다. 차세대 전기차 픽업트럭은 출시 시기를 2027년으로 1년 추가로 늦춰 생산하기로 했다.
포드의 이 같은 발표는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와 전반적인 전기차 수요 둔화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한 전략 수정으로 풀이된다.
전기차용 배터리에 대해선 한국 제조사들과 협력을 강화해 미국 내 생산을 증대하고 생산 일정을 앞당기기로 했다. 우선 포드는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머스탱 마크-E 모델에 사용되는 일부 배터리의 생산을 내년 폴란드 공장에서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으로 옮기는 방안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규정된 전기차 구매시 최대 7500달러를 제공하는 세액공제 조항의 자격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SK온과의 합작사인 블루오벌SK 켄터키주 1공장에선 2025년 중반부터 'E-트랜짓' 전기트럭과 'F-150 라이트닝' 전기 픽업트럭의 배터리를 생산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포드는 이를 통해 상당한 비용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SK온과 포드는 2021년 5조1000억원씩 총 10조20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를 설립하고, 배터리 공장을 테네시주에 1개, 켄터키주에 2개 건설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들 공장은 2022년부터 건립 공사가 진행 중이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