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자금 조달 위해 발행하는 여전채 금리 하락
국내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커져
업계, 마케팅 전략 공격적으로 전환
무이자 할부 6개월 등 재도입
카드 대출 연체율은 카드 사태 이후 최고
[마이데일리 = 황상욱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하면서 국내 기준금리의 하락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카드사와 캐피털사의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이고 있다.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와 캐피털사는 여전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한다. 최근 여전채 금리가 큰 폭 하락하면서 자금 조달 비용이 낮아진 덕에 마케팅 방향도 공격적으로 전환 중이다.
1일 여신업계와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등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금융채 II AA+ 등급의 3년물 금리는 3.261%를 기록했다. 여전채 금리는 2022년 3월 연 3.3%를 넘어섰고 같은 해 10월 강원도의 레고랜드 사태로 연 6%대까지 치솟은 바 있다. 올초까지도 4% 수준이었지만 최근 3% 초반대까지 내려온 상황이다.
이에 카드사들이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축소했던 무이자할부 기간부터 다시 늘리고 있다. 우리카드, BC카드, NH농협카드 등 일부 카드사는 이달부터 KG이니시스, 토스페이먼츠, NHN KCP, 나이스페이먼츠 등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 가맹점에 대해 무이자할부 혜택을 최장 6개월로 확대했다. 6개월 무이자할부가 다시 등장한 것으로 지난 2022년 말 이후 약 1년 8개월 만이다. 신한카드, 삼성카드, KB국민카드 등 주요 카드사도 온라인 쇼핑과 여행·항공·면세점 등에서 최대 5개월의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캐피털사의 자동차 할부금리도 인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자율이 내려가면서 신차 할부구매 수요가 높아지자 카드업계 역시 금리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편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취약계층들의 ‘급전 통로’인 카드 대출 규모는 역대 최고치까지 늘었고 연체율도 큰 폭 뛰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내 카드대출 및 연체 현황’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카드 대출 규모(전업카드사 8곳 기준)는 총 44조6650억원에 달했다. 건수로는 1170만9000건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이 통계를 추산한 2003년 이후 최대 규모다.
장기 카드대출인 카드론 규모가 38조7880억원(648만2000건), 단기 카드대출인 현금서비스가 5조8760억원(522만7000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고금리·고물가로 서민 경제가 어려워졌고 1금융권과 저축은행 등이 대출 문턱을 높여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와 같은 소액 급전으로 금융소비자들이 몰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체율도 올랐다. 지난 8월 말 기준 카드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채권)은 3.1%로 집계됐다. 카드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1.9%, 2022년 말 2.2%, 작년 말 2.4%로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카드대출 연체 금액은 2021년 7180억원(20만건), 2022년 8600억원(24만9000건), 2023년 9830억원(26만5000건)에서 올해 8월 말 1조3720억원(31만2000건)으로 크게 늘었다. 2003년(6조600억원)과 2004년(1조9880억원) 등 카드 사태 기간을 제외하고서는 가장 큰 규모다. 중저신용자,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상환 부담이 한계에 달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강민국 의원은 “금융 당국이 카드 대출 연체율 추이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카드사들의 카드 대출 자산에 대한 리스크 관리도 강화해야 한다”면서 “서민 자금공급자 역할을 지속 수행하도록 균형 있게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황상욱 기자 eye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