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삼성, 대중국 HBM 수출 비중 적어
SK하이닉스, HBM 전량 미국 공급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미국 정부가 고대역폭메모리(HBM)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내용의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반도체 업계에 미칠 영향이 주목받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 산업안보국(BIS)은 2일(현지시간) 중국 수출통제 대상 품목에 특정 HBM 제품을 추가한다고 관보를 통해 밝혔다. HBM 수출통제는 31일부터 적용된다.
상무부는 HBM의 성능 단위인 '메모리 대역폭 밀도'(memory bandwidth density)가 평방밀리미터당 초당 2기가바이트(GB)보다 높은 제품을 통제하기로 했다. 현재 생산 중인 모든 HBM이 통제 대상에 해당되기에 사실상 전체 HBM 생산에 적용되는 조치다.
업계에서는 세계 HBM 시장을 이끌고 있는 한국 업체들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SK하이닉스는 현재 HBM 전량을 미국에 공급하고 있는데다 생산량이 미국 내 수요를 못 따라가고 있어 당장은 별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삼성전자에는 영향이 클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이날 상무부는 HBM 뿐만 아니라 중국에 대한 장비 수출 규제도 강화하기로 했다.
상무부는 중국이 첨단반도체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반도체 제조 장비(SME) 24종과 소프트웨어 도구 3종의 대중국 수출을 금지하기로 했다. 한국에서 만드는 일부 반도체 장비와 부품의 중국 수출이 제한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무부는 미국과 동등한 수준의 수출통제 제도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해당 국가 기업이 반도체 장비를 중국에 수출할 때 상무부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도록 했다. 주요 반도체 장비 수출국인 일본과 네덜란드를 포함한 총 33개 국가가 해당되는데 한국은 명단에 없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