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가화제
[마이데일리 = 김하영 기자] 그룹 뉴진스가 어도어와의 전속계약 해지를 발표한 기자회견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유튜브 채널 '매불쇼'는 지난 2일 라이브 방송에서 뉴진스와 하이브·어도어 간의 전속계약 분쟁을 주제로 뜨거운 토론을 벌였다. 이날 방송에는 문화평론가 김갑수, 법무법인 존재의 노종언 변호사, 방송인 허재무가 패널로 참여해 각자의 입장을 밝혔다.
김갑수는 뉴진스의 기자회견을 두고 "전속계약 해지는 단순히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며 "뉴진스 측의 결단과 요구가 법적으로 얼마나 유효한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분쟁의 본질은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와 방시혁 하이브 의장 간의 갈등"이라며 뉴진스의 선택을 성급한 판단으로 평가했다.
반면 노종언 변호사는 "뉴진스의 행동은 전략적이고 과단성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는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신뢰관계 파탄만으로도 전속계약 해지가 가능하다"며, "뉴진스는 귀책사유가 없으며, 현재로서는 그들의 주장에 신뢰가 간다"고 했다.
노 변호사는 특히 "민희진 전 대표의 해임 이후 뉴진스는 사실상 활동 중단 위기에 몰렸다”며 “어도어가 뉴진스에게 1년 6개월의 휴가를 제안한 것은 기획사의 전형적인 횡포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김갑수는 이에 대해 "K팝 시스템은 제작사의 역할이 매우 크다"며 "뉴진스와 같은 개별 아티스트보다 기획사의 기여가 더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그는 "하이브의 멀티레이블 구조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시스템"이라며, 이를 배제할 경우 K팝의 글로벌 성장이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노 변호사는 "하이브의 구조는 재벌식 운영과 레이블 독창성이 혼재된 형태"라며, "이러한 구조가 창작의 자율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방시혁 의장이 과거 상장 과정에서 특수관계인으로부터 거둔 이익에 대해 "법적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뉴진스와 하이브 간의 갈등은 단순히 계약 해지 문제를 넘어, K팝 산업의 구조적 문제와 아티스트의 권리 보호라는 복합적 논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김하영 기자 hakim010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