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가화제
[마이데일리 = 김지우 기자] 배우 강나언이 모교 한예종의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7일 강나언은 개인 SNS를 통해 한국예술종합학교 단체들이 발표한 시국선언문을 공유했다.
시국선언문에는 "우리는 국회의사당으로 경찰들이 몰려들어 국회의원들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을 목격했다. 뒤이어 무장한 계엄군이 헬기와 함께 경내에 진입하여 본청 유리창을 깨고 본회의장으로 들어가려 하는 것을 똑똑히 듣고 보았다. 이 일련의 비현실적이고 반인륜적인 장면들은 여전히 국민들에게 공포와 치욕으로 맴돌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어 "12월 3일 이루어진 갑작스러운 계엄은 190인의 국회의원과 나라의 영원한 저력인 시민들에 의해 가까스로 저지되었다. 이 계엄은 국가비상상태가 아닐 때 선포되었을뿐더러 국회에 통고되지조차 않은, 불법이자 위헌이며, 2024년의 대한민국에서 상상도 할 수 없는 반민주적 내란이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은 '불편을 끼쳐드렸'다며 명백히 보신용인 담화를 발표하여 군사반란에 대한 올바른 반성과 사과의 의지가 없음을 내비쳤다. 나아가 계엄의 진상이 여전히 의문 속에 가려져 있고 무엇보다 국가의 존망이 걸린 헌정질서의 파괴가 또 감행될지도 모르기 때문에, 계엄 직후부터 지금까지 시민들은 단 한 순간도 안심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학생들은 "비상사태에 대해 침묵하지 않고 저마다의 몫을 다하고자 한다"며 "예술은 시대의 거울이며, 사회의 양심이다. 예술은 함께 살아가는 삶에서 나오는 새로움과 아름다움이며, 지금 여기에 있지 못한 삶들을 기억하고, 더 나은 공존과 연대를 희망하는 삶으로 향한다. 헌법을 수호하고 국민의 안전을 지켜야 할 윤석열 대통령이 그 부역자들과 함께 국민의 삶을 공포와 치욕의 도탄으로 몰아넣는 불의를 더 이상 좌시할 수 없다"고 했다.
끝으로 "이것은 정치적 문제이기 이전에 어떤 종류의 정치도 불가능하게 만든 극악무도한 범죄가 초래한 삶의 문제이다. 그러니까, 이것은 우리의 문제이다. 그리고 우리는 민주주의적 정의를 억압하는 모든 시도에 책임을 물을 것이고 끝까지 저항할 것이다. 예술은 권력의 억압에 굴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3일 밤 10시 25분경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을 통해 망국의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는 자유 대한민국을 재건하고 지켜 나갈 것"이라며 "지금까지 패악질을 일삼고 있는 망국의 원흉 반국가 세력을 반드시 척결하겠다. 가능한 빠른 시간내에 반국가 세력을 척결하고 국가를 정상화 시키겠다"고 했다.
국회는 4일 새벽 긴급 본회의를 열고 재적 의원 190명 전원 찬성으로 계엄 해제 결의안을 가결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대통령은 즉시 비상계엄을 해제해야 한다"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안심하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오전 4시 30분 국무회의에서 계엄 해제안이 의결되며 계엄은 완전히 해제됐다.
이날 국회는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위한 본회의를 열었다. 안철수, 김예지, 김상욱 의원을 제외한 국민의 힘 소속 국회의원들은 김건희 특검법 투표 후 단체로 퇴장해 탄핵안 표결에 불참했다. 김건희 특검법은 찬성 198표, 반대 102표로 부결됐다. 윤 대통령 탄핵안은 정족수 미달로 투표가 성립되지 못할 전망이다.
김지우 기자 zw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