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지역 상권 활성화 등 지원
위기 소상공인 돕는 희망리턴패키지 예산 937억원 확대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 소상공인 지원사업을 통합 공고한다고 27일 밝혔다.
2025년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부 예산은 역대 최대 규모인 5조9000억원으로 책정됐으며, 통합 공고는 예비 창업자와 소상공인이 지원할 수 있는 중기부 공모사업 위주로 7개분야 23개사업 8170억원 규모로 구성됐다.
주요 지원분야는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소상공인 성장 지원 ▲소공인 특화 지원 ▲지역 상권 활성화 ▲디지털 역량 강화 ▲경영 부담 완화 ▲재기지원 등이다.
중기부는 우선 소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혁신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지원 예산이 올해 524억원에서 내년 834억원으로 약 300억원 증가한다. 창업기획자와 벤처캐피탈(VC)등이 선투자 시, 최대 3배(최대 2억 원 한도)까지 정부가 사업화 자금을 매칭 지원한다.
또 유망 소상공인을 발굴하고, 민간 플랫폼사와 협력해 디지털 역량 강화 및 매출 증대를 지원하는 '톱스(TOPS)' 프로그램이 새롭게 도입된다. 내년 150억원의 신규 예산이 배정되며, 약 3000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일대일 컨설팅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제공된다.
위기 소상공인을 돕기 위한 희망리턴패키지 예산이 올해 1513억원에서 내년 2450억원으로 937억원 대폭 확대된다. 점포 철거비, 재취업 지원, 재창업 컨설팅 등이 포함되며 재창업 전담 프로젝트매니저(PM)를 신설해 소상공인의 성공적인 재도약을 밀착 지원한다.
내년에는 한시적으로 연매출 1억400만원 미만의 영세 소상공인에게 배달·택배비 일부를 지원하는 신규 사업이 시행된다. 총 2037억원의 예산이 신규 배정됐으며, 약 67만9000명의 소상공인이 최대 3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2025년부터 지역 상권의 자립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지역상권 활력 지원사업도 신규 도입한다. 내년 총 20억원(2곳 내외)의 예산이 편성됐으며, 상권주체와 지자체가 협력하는 컨소시엄 방식으로 운영된다. 기존의 정부 주도적 지원 방식에서 민관이 함께하는 지속성장 가능한 상권 활성화 모델로 전환된다.
중기부는 2025년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신규 또는 증액 사업을 통해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줄이고, 유망 소상공인의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대한민국 경제의 근간인 소상공인의 성장이 곧 국가 경제의 희망이며, 정부는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앞으로도 소상공인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라며 "예산 및 행정 절차의 신속 집행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조기에 해소하고, 동시에 전방위 홍보전략을 통해 모든 소상공인께 정책 내용을 충분히 알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원조건·내용 등 세부 사항이 담긴 통합 공고 및 세부사업별 개별 공고는 중소벤처기업부 누리집,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소상공인24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