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일반
‘업계 1위’ 롯데면세점 중국 보따리상과 거래 중단
신세계면세점 연 매출 1000억원 넘던 부산점 철수
[마이데일리 = 한종훈 기자] “황금알을 낳는 거위는 옛말이 됐다.”
수익 악화로 존폐의 갈림길에 선 국내 면세점들이 고강도 체질 개선에 나섰다. 점포를 줄이고, 업계 큰손 중국 보따리상(따이공)과 거래를 과감히 중단했다. 투자 대신 수익에 초첨을 맞춘 경영에 나선 셈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지난해 말 중국인 보따리상들에게 올해부터 판매를 중단을 통보했다. 바닥까지 떨어진 수익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절박함이 반영됐다.
중국인 보따리상은 사드(THAAD) 사태 이후 중국 정부의 단체 관광객 금지 조치가 시행된 2017년부터 활동이 본격화됐다. 이들은 국내 면세점에서 물건을 대량 구매해 자국이나 동남아 등에 판매했다.
중국인 보따리상이 매출의 큰손으로 급부상하자 면세점들은 이들 유치를 위해 수수료 카드를 꺼냈다. 상품 정상가의 40~50%를 수수료로 환급해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외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끊기자 보따리상 의존도는 더 높아졌다.
보따리상은 면세점의 수익 악화 요인으로 작용했다. 판매량이 늘어날수록 손실이 커지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국내 면세점들은 상호 합의로 지난 2023년 1월부터 보따리상 수수료를 인하해 35% 수준까지 낮췄다. 하지만 수익의 마지노선인 20%보다 높다. 손실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이유다. 롯데면세점은 2024년 1~3분기 2조447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9.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922억원에 달했다.
롯데면세점은 보따리상의 공백을 내국인 관광객, 외국인 개별 관광객, VIP 고객으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마케팅전략팀과 자유 여행객 마케팅팀, 여행사 마케팅팀 등으로 역할을 세분했다.
지난 2012년 문을 연 신세계면세점 부산점은 오는 24일까지 영업한다. 신세계면세점 부산점은 연 매출 1000억원이 넘는 효자 점포였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외국인 단체 관광객이 줄어들면서 실적 부진에 시달려왔다. 지리적 특성상 일본인 관광객이 많이 찾는데 엔화가 약세를 보이며 일본인 매출이 많이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면세점을 운영하는 신세계디에프는 지난해 하반기 비상 경영을 선포하고 부산점 영업일을 주 7일에서 주5일로 단축했다. 지난해 11월 영업 면적의 25%를 축소했고, 희망 퇴직 지원까지 받았으나 반등의 기미가 보이지 않자 결국 폐점을 결정했다. 신세계디에프는 부산점 폐점 이후 서울 명동 본점과 인천공항점 운영에 집중할 방침이다.
업계는 지난해 면세점 실적이 코로나19 이후 최악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3분기까지 롯데와 신라·신세계·현대 등 주요 면세점 4사의 2023년 영업 손실액은 1355억원에 달한다. 4분기까지 포함한 연간 영업 손실액은 2000억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도 면세 업계 전망을 밝지 않다. 1500원에 육박하는 원화 대비 달러 강세로 면세점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졌다. 이 때문에 올리브영이나 다이소와 같은 로드숍에서 물건을 대량 구매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많아졌다.
업계 관계자는 “매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시내 면세점이 부진하면 실적에 타격을 입게 된다”면서 “실적 부진의 장기화에 버틸 만큼 버티던 면세점들이 올해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종훈 기자 gosportsman@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