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TV
[마이데일리 = 김도형 기자] 올해 20주년을 맞은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 언급은 없었다. 여기에 대상 예측까지 PPL(간접광고)을 태웠다. 레전드 리얼버라이어티가 빠지고, 선 넘은 광고 버무리기가 오점으로 남았다.
28일 오후 8시 20분 상암 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2024 MBC 방송연예대상'(이하 'MBC 연예대상')이 생방송으로 진행됐다. 방송인 전현무, 배우 이장우, 가수 겸 배우 윤은혜가 진행을 맡았다.
이날 'MBC 연예대상'은 30주년을 맞아 MBC 방송연예 분야의 역사를 돌아보고 추억을 회상하는 콘셉트로 기획, 구성됐다. 시상식 후 각종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과거를 회상할 수 있어서 좋았다', '기존 시상식을 벗어난 색다른 기획으로 재미를 줬다'며 호평을 받고 있다.
다만 두 가지 오점을 남기기도 했다. 먼저 '무한도전' 언급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지난 2006년 5월 첫 방송된 '무한도전'은 MBC의 대표 예능 중 하나이다. 올해 20주년으로, '무한도전에는 없는 게 없다'며 여전히 회자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시상식에선 단 한 번도 조명받지 못했다.
과도한 PPL도 시청자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시상식 진행을 위해서 당연히 필요한 게 기업체의 광고이다. 시청자도 이를 모르지 않는다. 보통 시청에 불편하지 않은 선에서 PPL을 진행하는데, 이번 시상식은 그야말로 대놓고 앞 광고를 하는 수준이었다. 대상 예측에도 S사의 신상 AI(인공지능) 스마트폰이 활용돼 시청에 불편함을 줬다.
두 가지 오점에 시청자들은 "한 시대를 주름잡은 프로그램인 '무한도전'이 빠지다니 이해할 수 없다", "'무한도전'을 패싱하다니 아쉽다", "넘치는 PPL도 아쉬웠다", "전체적인 기획은 좋았는데 선 넘는 중간 광고가 보기 불편했다" 등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무한도전'만 빠진 것은 아니다. '이경규의 양심 냉장고', '일밤 - 몰래카메라', '느낌표' 등도 다뤄지지 못했다. 그만큼 MBC 예능 프로그램의 역사가 화려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또한 다소 과도한 PPL이었으나, 제작비를 위해선 이해할 수 있다는 의견도 일부 존재한다.
다만, '무한도전' 언급을 뺀 것과 관련해선 반발이 거세지는 분위기다. MBC는 자체 유튜브 채널을 통해 '무한도전'으로 가장 큰 재미를 보고 있다. 그런 MBC가 '무한도전'을 다루지 않은 것에 수많은 충성 팬이 아쉬움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인 이유가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MBC 측이 '무한도전 패싱' 이유를 밝힐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김도형 기자 circle@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