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일반
18일 국회 정무위 현안 질의 진행…투자자 기만 의혹 지적
김광일 MBK 부회장 “3개월 내 부도 막을 방법 없어 불가피”
[마이데일리 = 한종훈 기자] “2월 28일부터 3월 4일 0시 사이 연휴 동안 준비를 했다. 단기 유동성 압박을 해결하기 위해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현안 질의에 증인으로 참석한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이자 홈플러스 공동 대표가 이같이 답변했다.
2월 28일은 홈플러스의 단기 신용등급 강등('A3'→'A3-')이 공시된 날이다.
홈플러스가 신용 등급 하락 전 기업 회생 절차 신청을 준비했다는 의혹을 부인한 것. 홈플러스는 신용 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하고도 현금 확보를 위해 기업 회생 절차 신청 전 채권 발행 규모를 늘렸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기업 회생 절차에 돌입하면 신용 등급이 채무 불이행을 의미하는 ‘D’로 조정된다.
이 때문에 이날 정무위 의원들은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강등 사실을 미리 알고 회생신청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채권을 발행해 '사기 판매'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김광일 부회장은 “기업어음 ‘A3-’ 등급은 수요 부족으로 거의 발행이 되지 않는다”며 “3개월간 6000억∼7000억원 규모의 자금 상환 요구가 들어오는데 3개월 내 부도를 막을 방법이 없었고 거래처, 직원들을 보호하려면 회생에 넣고 채권자들과 별도 협의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함께 증인으로 참석한 조주연 홈플러스 사장 역시 “신용등급 강등이 확정된 이후에 긴급하게 임원들과 논의했다”고 답했다.
이번 홈플러스 기업회생 신청으로 투자자와 채권자들 손해가 불가피하다.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8일 강등 이후 3월 1일은 3·1절인 토요일, 2일은 일요일, 3일은 임시 공휴일이었다”며 “관공서 업무 중단 시점에 서류를 준비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김 부회장은 “28일부터 3월 1일까지 회생 없이 회사가 부도를 피하고 갈 방법이 있을지 찾아봤다. 1일 오후에 임원들끼리 더는 방법이 없겠다고 생각해 그때부터 준비를 본격적으로 했다”고 밝혔다. 또 김 부회장은 "공식적으로 회생 신청을 결정한 이사회 결의는 3월 3일이다"고 덧붙였다.
채권 변제에 대한 자신감도 내비쳤다.
김 부회장은 “모든 채권을 다 변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상거래 부채는 지급이 되고 있어 잔액이 많지 않고 비상거래 채무가 2조2000억원인데 이 부분은 소유 부동산만 4조7000억원이라 시간을 주시면 원금을 다 변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자신했다
한편 홈플러스는 지난달 25일 발행된 매입채무유동화 미매각분 171억원이 28일까지 판매됐다는 주장과 관련해 "매입채무유동화는 24일 약정 및 승인이 모두 완료된 건으로 이후 진행된 사항들은 당사가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이날 데일리 브리핑을 통해 "신용평가사로부터 예비평정 결과를 통보받은 것은 25일 오후로, 매입채무유동화는 예비평정 결과를 통보받기 하루 전에 이뤄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매장 임대료 미정산과 관련한 주장에는 "대형마트 임대료 지급은 법원의 승인이 필요한 사항으로, 회생절차 개시 이후 지급 시기가 도래하는 대형 마트 임대료는 지급이 지연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종훈 기자 gosportsman@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