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배선영 기자] 제13회 전주국제영화제(JIFF) 상영발표 기자회견이 3일 오후 서울 중구 세종호텔에서 진행됐다.
이날 자리에는 송하진 조직위원장, 민병록 집행위원장, 유운성 프로그래머, 조지훈 프로그래머, 맹수진 프로그래머 등이 참석해 올해 전주국제영화제의 의미와 발전 방향, 변화된 모습을 소개했다.
올해로 13돌을 맞은 전주국제영화제는 추후 전 세계 대안·독립 영화의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생산적인 영화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더불어 영화·영상 문화 및 산업육성을 통해 인재 양성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이바지하겠다라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에 2014년까지는 기반조성을 목표로 관객과 수평적인 소통관계를 구축하고 국내외 네트워크 사업을 강화해 브랜드 가치를 최적화 하고자 한다. 또 자립형 영화제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 비지니스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1. 작품 출품수 줄었지만 상영회수는 늘어나
이 같은 목표 의식 속에 출범한 13번째 전주국제영화제에는 42개국 184편의 작품이 출품됐다. 지난해 190편에 비해 소폭 축소된 수치이지만, 상영작 수를 줄이는 대신 일부 상영작들의 항영 횟수는 2회에서 3회로 확대해 전체 상영 회수는 확대하고 전체 극장 좌석수도 예년에 비해 6287석이 증가된 8만 3877석으로 늘어났다. 컴팩트하면서도 내실 있는 영화제로 만들기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2. 3色 신설 프로그램
올해 신설된 프로그램으로는 국내에 미처 소개되지 못한 작품을 새로 발굴하거나 혹은 복원된 고전 가운데 몇 편을 엄선해 상영하는 '되찾은 시간' 섹션이 신설?磯? 올해는 니콜라스 레이의 '우린 집에 돌아갈 수 없어'(1976)와 우고 산티아고의 '인베이전'(1969), 김기영 감독의 데뷔작 '죽엄의 상자'(1955) 등을 비롯, 민다 마틴의 '프리 랜드'(2009),와 맷 포터필드의 '퍼티 힐'(2010)등이 소개된다.
비엔나 영화제 50주년 기념 특별전도 새롭게 마련됐다. 주한 오스트리아 대사관의 후원을 받아 진행되는 비엔나 50주년 기념 특별전은 영화제 간의 우애를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비엔나 영화제의 정신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 상영작들을 매 10년당 한 편씩 선정, 총 5편의 작품을 상영하고 매년 저명한 영화감독들의 참여로 관심을 끌어온 비엔나영화제 트레일러 18편을 각 작품들과 함께 특별 상영할 예정이다.
3. 폐막작 추가 상영 및 별도 선정
지난해 전주국제영화제는 한국장편경쟁 부문의 수상작을 폐막작으로 상영키로 결정했지만, 페막작이 가진 축제성으 살리기 위해 올해부터 페막작을 다시 별도 선정한다. 또 폐막식에 올 수 없는 대부분의 타지역 관객들을 배려해 올해부터 폐막작 이전 영화제 기간 주말에 폐막작을 1회 상영한다. 폐막작은 홍콩 허안화 감독의 '심플 라이프'로 선정됐다.
제 13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오는 26일 위르실라 메이에 감독의 '시스터' 상영을 시작으로 내달 4일까지 전주 일대에서 개최된다.
[JIFF 상영발표 기자회견장(위)와 JIFF 홍보대사 임슬옹과 손은서. 사진 = 송일섭 기자andlyu@mydaily.co.kr]배선영 기자 sypova@mydaily.co.kr
배선영 기자 sypova@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