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조인식 기자] 70년대 최고의 가드, 카리스마의 상징, 프로농구 최고령 감독 등 김동광 감독(59·서울 삼성 썬더스)을 설명하는 수식어는 많다.
김동광 감독은 이번 시즌을 앞두고 다시 삼성의 감독으로 부임해 팀을 이끌고 있다. 지난 시즌 꼴찌의 수모를 겪은 팀을 맡아 김 감독은 2라운드까지 9승 9패로 5할 승률을 기록 중이다. 순위는 당당히 5위. 당초 목표라던 6강을 충분히 노릴 수 있는 성적이다.
프로 감독들 가운데서도 가장 경험이 많은 김 감독인 만큼 이야깃거리도 풍성하다. 지난 28일, 2라운드를 마치고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삼성 트레이닝 센터(STC)에서 프로-아마 최강전 준비에 여념이 없던 김 감독을 만나 그의 농구인생에 대해 들어보았다.
다음은 김동광 감독과의 일문일답.
- 송도중-고 출신인데 프로필에 출생지는 부산으로 되어 있다
태어난 곳은 부산이 맞다. 7살 때쯤에 어머님과 함께 인천으로 이사를 왔다. 지금도 호적에는 인천으로 되어 있다. 부산에서는 어린 시절에 큰 홍수가 나서 동네에 물이 꽉 차 쪽배를 타고 다니던 기억이 난다.
- 송도중에서 은사인 전규삼 선생을 만나게 되었는데?
초등학교 때는 기계체조도 하고, 정식으로는 야구를 좀 했다. 야구를 하기 위해 상인천 중학교 시험을 봤는데 떨어지고, 송도중에 붙었다. 그런데 송도중은 야구가 없고 농구가 있었다. 소집할 때 학교에 갔더니 야외 코트에서 농구를 하고 있기에 구경을 했다. 그러자 전규삼 선생님이 오셔서 불러서 농구를 하지 않겠느냐고 하셨다. 쉽게 시작했다.
- 그렇다면 중학교에 들어와서 농구를 시작했던 것인가?
중 1부터 했는데, 지금 기준으로는 늦지만, 당시 중 1이면 정말 빨리 시작한 거였다. 1년간 기본기만 죽어라 했다. 전규삼 선생님은 기본기를 충실히 가르치셨는데, 그때 그랬던 것이 농구인생에 도움이 됐다.
- 대학 진학 전에는 키가 작아서 맘고생도 했다고 들었다
대학에 들어가기 전엔 178cm정도였다. 대학에 가서 6cm나 자랐다. 그땐 먹거리가 좋지 않을 때고 운동량은 많았다. 보약을 먹을 환경도 아니었고. 대학 때는 강의를 들어야 해서 운동량이 줄어서였는지 몸에 도움이 됐다.
- 저학년 시절에는 훈련랑이 많아 고생도 했다는데?
1학년 땐 힘들었는데, 그땐 빈혈도 왔었다. 골수검사까지 다 했다. 다행히 철 부족으로 인한 빈혈이라 수혈을 받아 해결했고, 철 부족에 필요한 약도 석 달을 먹었다. 철분이 일반인의 절반밖에 되지 않아 자고 일어나면 핑핑 돌 정도였는데, 원인을 치료하고 나서는 체력에서 1등이 됐다. 그 뒤론 전혀 문제가 없었다.
- 어떻게 고려대 유니폼을 입게 되었나?
사실 고대를 들어갈 때는 송도고 동기가 나까지 넷이었다. 나와 김인진, 한영규, 문영환까지. 당시 고대와 연대가 둘씩 나눠 가지기로 했는데, 내가 넷 중에 제일 못했다. 그래서 고교 랭킹 안에 들던 김인진한테 업혀서 갔다. 결국은 넷 모두 고대로 갔다.
- 현역 시절에 백드리블이 장기였다는데, 어떻게 연마했나?
개인 연습을 많이 했다. 고려대에 들어가면서 매일 개인연습을 했는데, 결혼하고 82년까지 했다. 주변에 체육관이 없을 때는 아스팔트의 고르지 않은 면에서도 드리블을 했다. 그러고 나서 코트에 들어오면 자유자재로 드리블이 됐다. 정말 볼을 갖고 살다시피 했다.
- 국제대회와 관련된 기억은?
72년에 청소년대표가 됐고, 73년에 국가대표가 됐다. 82년까지 했으니 10년 정도를 했다. 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에 나가라고 했는데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겨서 그만 두게 됐다. 당시 중국에는 키가 238cm인 무태추라는 선수가 있었는데 그 선수를 이길 수 없었다. 그런데 그 친구가 그때 관둬서 뉴델리에서 대한민국이 우승을 했다.
무태추가 뛴 경기에서 중국은 우리한테 한 번도 지지 않았다. (휴대폰에 있는 옛날 사진을 보여주며)박수교는 무태추에게 들려 있었고, 나는 눌려 있다. 이 사진이 '거인의 횡포'라는 제목으로 한 사진전에 있는 것을 봤다. 야오밍은 길쭉하지만 무태추는 웨이트도 엄청났다. 180kg인데, 내가 82kg 나갈 때였다. 이 선수 때문에 우승을 못하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그땐 아시안게임을 하면 합숙이 300일이었다. 79년에 결혼해서 아이가 하나 있었는데 도저히 안 되겠다 싶었다. 대표선수는 그만 두고 은행에서 1년 더 뛰어서 83년에 은퇴를 했다. 지금은 많이 좋아졌다. 지금은 선수촌에 있어도 금요일에 나가서 토요일에 들어온다는데, 그땐 일요일 아침 10시에 나가서 저녁 6시에 들어오고 그랬다.
(中)에서 계속.
[김동광 감독. 사진 = 마이데일리 사진DB]
조인식 기자 조인식 기자 nic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