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
[마이데일리 = 허설희 기자] 자신의 모든 것을 내놓는 사랑, 상대의 모든 것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랑. 한번쯤 꿈꿔보고 그 안에서 공감할 수 있기에 연극 ‘로미오와 줄리엣’은 시대와 국적을 불문하고 지금까지 대중의 마음을 자극하고 있다.
올해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을 맞아 다양한 분야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을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배우 배해선은 연극으로 ‘로미오와 줄리엣’ 관객들을 만난다. 극 중 줄리엣의 유모 역을 맡았다.
배해선은 “‘로미오와 줄리엣’은 여러 공연이 있었고 외국에서도 많이 볼 수 있다”며 “그동안 공연됐던, 내지는 우리나라에 나와 있는 책자, 대본 같은 것을 방대하게 놓고 얘기를 많이 하고 있다”고 운을 뗐다.
“공연 직전까지 우리끼리 잘 놀아보려고 해요. 작품이라는 압박감에서 달려가기보다 그야말로 한 사람 한 사람이 살아있고 진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무대를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죠. 색깔에 맞게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워요.”
배해선은 서이숙과 같은 유모 역을 맡아 번갈아 무대에 오른다. 그는 “서이숙 선배님이 워낙 잘 해서 보고 따라하려고 하니 마음이 좀 편하다”며 웃었다.
“이번 작품엔 엄마, 아빠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어찌 보면 로렌스 신부가 아버지, 유모가 어머니일 때도 있어요. 그리고 인생의 선배로서 이 두 사람한테 해줄 수 있는 현실적인 이야기를 해주기도 하죠. 감정을 얘기하기도 하고 채찍도 주고 사탕도 줘요. 엄하기도 하고 사랑도 많고 정도 많은 유모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전 좀 유난히 엄하게 해볼까 해요.”
배해선은 캐릭터를 잡아가는 과정에서 선배들이 주는 도움을 강조했다. 자신과는 다른 유모를 표현 하지만 연습할 때마다 살아있다는 느낌을 주는 서이숙에게 고마움을 표했다. 또 로렌스 신부 역을 맡은 손병호의 연륜을 치켜세웠다.
“같이 대본 리딩을 할 때 손병호 선배님이 유모 역을 해주셨어요.(웃음) 정말 너무 살아있고 가슴이 착착 와닿았죠. 연륜에서 오는, 인생의 깊이에서 오는 진심 어린 말들이 착착 와닿더라고요. 그 시간이 굉장히 유익했어요. 선배님들은 팀과 극의 분위기, 색깔을 착 만들어 주세요. 본인들은 아무 느낌 없이 대본을 읽으셨을 뿐인데 후배들 입장에서는 굉장히 힌트를 얻을 수 있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본보기를 보여주시니 길잡이라는 느낌이 있어요. 같이 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 너무 좋아요. 우리 작품에서 과일 이야기를 하는데 선배님들은 정말 향이 흘러 나오는 분들이에요.”
이어 배해선과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나는 없다. 불행하게도”라고 입을 연 배해선은 “여자들은 특별히 좀 그런 사랑을 꿈꾸지 않나. 첫눈에 반하는 사랑. 짧던 길던 내 인생에 한 번은 있었으면 좋겠다”고 고백했다.
“로미오와 줄리엣 같은 사랑이 찾아온다면 그게 너무 큰 행운 같아요. 로또보다 확률이 낮죠. 사실 로미오와 줄리엣이 왜 목숨까지 내놓았을까요? 어려서 그런 거예요. 피가 뜨겁고 이 사랑이 아니면 내 인생이 오늘 끝날 것 같고, 차라리 이렇게 독약이라도 먹고 심장에 칼이라도 맞고 죽자 하게 되는 거예요. 나이가 들면 그렇게 안 되죠. 쉽지가 않은데 지나가는 인생이라도 그런 사람이 있었으면 하는 꿈은 있어요. 서로가 그렇게 되기 힘들잖아요. 어찌 됐건 이 작품 보면서 대리만족 해보려고 해요. 남이 하는 사랑을 보면서.. 그래, 뜯어 말리면서.(웃음)”
배해선은 이들의 사랑이 이유가 없어 아름답다고 했다. 우주의 섭리처럼 뭔가 확 끌어 당기는 게 있는데 그게 뭔지 모른다는 게 아름다운 것이라고.
“‘로미오와 줄리엣’은 어떤 마약에 취한 것처럼 미쳐버리는 순간, 그런 게 멋져요. 진심이라는 게.. 그래서 더 의미 있는 것 같아요. 이번 연극은 이미 많은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해요. 여러분들께 정말 좋은 선물이 될 수 있게 열심히 끝까지 할 거예요. 끝나는 날까지 계속 노력하고 살아있는 연극이 되도록 열심히 하겠습니다.”
연극 ‘로미오와 줄리엣’은 오는 12월 9일 서울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개막된다.
[사진 = 샘컴퍼니 제공]
허설희 기자 husullll@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