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예은 기자] '프로듀스101 시즌1'(2016), '프로듀스 시즌2'(2017)에 이어 '프로듀스48'이 오는 15일 첫 방송을 앞두고 있습니다. 국민 프로듀서들의 투표로 선정된 아이오아이(I.O.I), 워너원(Wanna One)의 폭발적 인기에 이어, 올해는 한·일 합작 아이돌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마이데일리 신소원·명희숙·이예은 기자가 '프로듀스48' MC 이승기부터 주목할 만한 한·일 연습생들, 기대와 우려 등을 짚어봅니다.
케이블채널 엠넷 '프로듀스48'의 윤곽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 국내 정서로는 온전히 받아들이긴 힘든 일본 아이돌 AKB48의 합류, 과거 행적 논란, 성공한 오디션 프로그램 포맷 답습 등 여전히 대중의 시선은 날카롭지만 화제성만큼은 역시나 뜨겁다.
지난 2016년 포문을 연 '프로듀스 101' 시리즈는 시작부터 각종 논란을 몰고 다녔던 대표 프로그램이다. 일본 아이돌 생산 구조를 본뜬 듯한 모습에 대다수 시청자들은 '기이하다' 혹은 '불쾌하다'는 입장을 내놨고 '불매'를 선언했다. 종영 직전까지도 설전은 계속됐으나 연습생을 둘러싼 서사가 그려지자 이들을 열렬히 응원하는 시청자도 급증했다. 이는 압도적인 참여 유도로 번졌다.
'프로듀스48' 또한 긍정적인 반응으로 바뀔 것이라는 기대가 적지 않다. 지난달 10일 '엠카운트다운'을 통해 '내꺼야(Pick Me)'가 공개된 직후 AKB48과 기존 연습생 팬들은 조회수 올리기, 온라인 홍보 등 열띤 응원을 시작했다. 이러한 가운데, '프로듀스101'의 최고 수혜자 가수 전소미와 강다니엘을 이을 새 국민 센터에 벌써부터 이목이 쏠린다.
브라운관으로 만나기 전 온라인 플랫폼에 게재된 자기소개 영상으로 먼저 확인한 인기 연습생은 소속사 스톤뮤직 출신 장규리다. '아이돌 학교' 출신인 장규리는 그룹 프로미스나인의 멤버이기도 하다. 그는 새로운 기회를 위해 잠시 활동을 멈추고 '프로듀스48'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기대에 부응하듯 현재 장규리는 무려 21만 조회수를 달성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는 AKB48 4팀 출신 연습생 코지마 마코가 20만으로 2위를 기록했고 플레디스 연습생 이가은이 18만 조회수로 3위에 올랐다. 특히 그룹 애프터스쿨 출신 이가은은 이미 확보한 대중성과 '내꺼야' 무대의 한국 센터로 올라섰던 바 있어 데뷔에 유리한 초석을 다졌다. 한 관계자는 "이가은은 선한 면모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누구보다 노력하는 모습이 돋보이는 연습생"이라며 "해당 시너지가 유지되면 좋은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뒤이어 '내꺼야' 일본 센터로 섰던 HKT48 미야와키 사쿠라가 17만을 기록했고 SKE48 마츠이 쥬리나는 16만 조회수를 나타냈다. 두 사람은 강렬한 애교와 끼로 한국 남성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9만 뷰를 기록한 이채연은 트와이스를 탄생시켰던 엠넷 서바이벌 '식스틴' 출신으로 역시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높은 조회수를 자랑하는 연습생들은 국민 프로듀서에게 모습을 비추는데 있어서 유리한 지점을 차지했으나 오로지 조회수와 센터 포지션으로 최종 국민 센터를 논하기엔 한참 이르다.
'프로듀스 101' 시즌1은 초반 화제성이 방송 말미까지 이어진 경우였다. 전소미와 김세정은 첫 회부터 1위와 2위를 차지하며 각축전을 벌였다. 최종적으로 아이오아이(I.O,I) 데뷔도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김청하, 김소혜, 유연정 등이 실력 혹은 화제성으로 데뷔 멤버 진입에 성공했다.
시즌2는 모양새가 다르다. 남자 그룹 특유의 팬덤력이 '프로듀스101'에도 적용돼 순위가 변동되는 일이 잦았고 마지막까지 예측 불가한 일이 펼쳐졌다. 특히 최종 순위 1위를 기록하며 그룹 워너원의 센터로 낙점된 강다니엘의 첫 회 순위는 23위였다. 그야말로 놀라운 급상승이다. 첫 곡 '나야나'의 센터였던 이대휘는 3위로 시작해 3위로 끝마쳤다. 1위로 시작한 박지훈은 2위라는 높은 순위로 마무리지었다. 반면 방영 전부터 대단한 이목을 끌었던 래퍼 장문복은 첫 회 2위를 기록, 방송 중간 27위를 나타내며 아쉽게 탈락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프로듀스' 시리즈이지만 이 곳에서 탄생한 아이오아이와 워너원은 전국민적 사랑을 받았다. 특히 센터 강다니엘은 줄곧 아이돌 브랜드 정상을 차지함은 물론, '강다니엘 앓이', '강다니엘 신드롬' 등을 일으키며 어마어마한 영향력을 지닌 인물로 거듭났다. 아이오아이 활동을 끝마치고 휴식기에 돌입한 전소미 또한 여전히 뛰어난 스타성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그들의 높은 인기를 이어 받을 영광이 누구에게 주어질지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 = 엠넷 제공, 마이데일리 사진DB]
이예은 기자 9009055@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