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현대차 노조, 5~6일 이틀간 부분파업 돌입
기아는 확대간부 파업 진행…생산엔 무리 없어
전면 파업 확산될 경우 생산 차질 불가피
자동차 업계 "언제 해결될 지 모르는 상황 우려 증폭"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비상계엄 후폭풍이 자동차 업계에도 파장을 미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정치파업을 강행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전국금속노동조합 지침에 따라 이날부터 오는 6일까지 주간조, 야간조 각 2시간씩 파업에 돌입한다.
현대차 오전 근무조 조합원들은 오후 3시 30분인 퇴근 시간보다 2시간 먼저 퇴근하거나, 울산 태화강역에서 열리는 민주노총 총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다. 오후 출근조는 출근 시간을 오후 3시 30분에서 5시 30분으로 2시간 늦춰 총파업 결의대회에 동참한다.
금속노조 산하인 한국GM노조도 파업에 동참한다. 한국GM노조는 현대차 노조와 동일한 방식으로 부분 파업을 진행한다. 다만 기아노조는 확대간부들만 파업에 돌입해, 생산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와 금속노조는 앞서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 계엄령과 관련해 대통령 정권 퇴진 시까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이에 금속노조는 장창열 위원장 명의 공지문을 통해 전체 조합원에게 5일과 6일 주·야 2시간 이상 파업 지침을 내렸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전국 20개 지부, 500개 사업장, 190만 조합원이 총파업 투쟁 태세에 돌입한다.
현대차 노조는 금속노조 지침이 내려지자 전날 문용문 지부장 명의로 긴급 성명서를 발표했다. 노조는 "위법적인 계엄령 선포는 국민을 상대로 한 선전포고로,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민주주의 회복과 윤석열 정권의 독재를 막기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강조했다.
노조는 사측과 근로조건 관련 쟁의가 발생했을 때 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하고, 조정신청 중지 결정이 났을 때에만 쟁의권을 확보해 합법적으로 파업에 들어설 수 있다. 따라서 현재 현대차 노조가 정치적인 이유로 파업을 벌이는 것은 불법이다.
글로벌 경기침체와 도널드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 등으로 이미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자동차업계는 이번 파업에 대해 난색을 표하고 있다.
금속노조가 본격적인 전면 파업에 들어서면 완성차 생산차질이 불가피하다. 현대차 노조는 조합원 약 4만3000명이 소속된 국내 최대 규모 산별노조로, 이들이 공장 가동을 중단하면 차량 공급에도 제동이 걸린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회사와의 갈등이 아닌 노조 지침에 따른 정치파업인 만큼 상황이 언제 해결될 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한편 금속노조는 윤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을 시 오는 11일부터 무기한 전면 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