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공공연 연구인력 통해 중소기업 기술애로 해결 나서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중소벤처기업부는 2025년도 중소기업 연구인력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중소기업의 연구인력난 해소 및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연구인력의 '채용', '파견' 및 '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주된 지원대상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보유한 중소기업이다.
먼저 중기부는 중소기업이 학·석·박사 연구인력 채용 시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한다.
특히 내국인 연구인력을 구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위해 우수한 외국인 연구인력 매칭도 함께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케이-워크(K-Work) 플랫폼을 통해 구직 중인 외국인 연구인력과 고용계약을 체결하면, 중기부에서 비자추천을 통해 전문인력(E-7-1) 비자발급을 지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이날부터 3월 4일까지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종합관리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더불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공공연구기관의 전문연구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해 기술애로 해결 등 업무를 수행하고, 정부는 파견인력 연봉의 50%를 최대 3년간 지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중소기업은 연구인력지원시스템을 통해 파견희망인력을 검색해 지원받을 수 있으며, 연중 상시 신청 가능하다.
권역별로 선정된 연구인력혁신센터를 통해 중소기업과 연구인력을 매칭하고 연구개발(R&D)과제 수행(2~4개월) 후 채용이 확정될 경우에는 R&D 과제비(최대 1200만원)를 6개월 이내로 지원한다.
올해는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이라는 R&D 정책방향에 맞 초격차스타트업 1000+프로젝트에 선정된 기업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지원을 받고자 하는 중소기업은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개발전담부서를 갖추고, 권역별 연구인력혁신센터로 신청하면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3월 중 권역별 연구인력혁신센터별 공고할 예정이다.
김우중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은 "앞으로 중기부의 대표적인 지역특화프로젝트인 '레전드50+프로젝트' 등 지역 및 첨단산업과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지원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촘촘히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