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타이어 3사, 지난해 실적 최대치 달성
고인치·전기차용 타이어 판매량 호조
트럼프 대통령 관세 부과엔 '고심'
[마이데일리 = 심지원 기자] 국내 타이어 업계가 펄펄 날고 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도 불구, 기존에 판매됐던 전기차 타이어 교체 주기가 본격화되는 등 호재가 겹치면서 호황을 맞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9조4119억원, 영업이익 1조762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5.3%, 영업이익은 32.7% 증가한 수치다. 특히 매출과 영업이익 전부 창립 이래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며 호실적을 달성했다.
한국타이어는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확대로 수익성을 확보했으며,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신차용 타이어 공급을 지속 강화해 질적 성장을 도모했다.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매출액 4조5381억원, 영업이익 590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각각 12.3%, 43.7% 증가했다. 금호타이어는 미국·유럽 등 주요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신차용(OE) 및 교체용(RE) 타이어 시장에서의 판매가 확대돼 실적 개선을 이뤄냈다고 설명했다.
이번주 실적 공시가 예정된 넥센타이어도 매출 2조8940억원, 영업이익 210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 12.8% 증가한 성적을 내놓을 것으로 컨센서스가 잡혔다.
이 같은 실적상승 기류에 대해 업계는 북미와 한국 시장에서 스포츠유틸리차량(SUV) 모델이 인기를 끌면서 18인치 이상 고인치 승용차용 타이어 판매 비중이 늘어난게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한국타이어의 18인치 이상 타이어 제품 판매 비중은 전체 판매량의 46.5%를 차지했다. 이는 1년 전보다 2.3%포인트(p) 오른 수치다. 금호타이어와 넥센타이어도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고인치 타이어 판매 매중을 늘려 각각 42%, 35.9%를 기록했다.
전기차 타이어 교체 주기가 되돌아온 것도 실적 증가에 힘을 보탰다. 일반 내연기관차 타이어 교체 주기는 4~5년이지만, 전기차는 배터리 무게와 높은 토크 특성으로 교체 주기가 2~3년으로 비교적 짧은 편이다. 가격도 일반 타이어보다 높게 책정되면서 타이어 업계 실적을 큰 폭으로 끌어올렸다는 평가다.
다만 업계는 올해 미국 트럼프 정부가 타이어에 높은 보편관세를 적용, 실적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2021년부터 한국산 타이어가 자국 시장에서 공정 가격 이하로 판매되고 있다며 반덤핑 관세율을 부과해왔다. 상무부는 올해 1분기 안에 2022년 7월~2023년 6월 판매 물량에 대해 반덤핑 관세율을 정할 방침이다.
타이어 업계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강화에 전사적 대응을 펴고 있다. 우선 한국타이어는 현지 생산을 더욱 늘린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현재 공사 중인 미국 테네시 주에 위치한 생산공장의 설비 증설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증설 이후 기존 연간 생산량 550만본에서 내년 초까지 1200만본으로 늘릴 계획이다. 계획대로 된다면 승용차용 타이어 1100만본, 경트럭용 타이어 100만본의 생산체제가 갖춰지게 된다.
금호타이어 측은 "정확한 정책 결정이 나온 상태가 아니라 섣불리 방안을 정하기엔 어려움이 있다"며 "나중에 관세율이 확정된다면 다각도로 방안을 고려해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넥센타이어는 미국 생산 공장은 없지만 중장기적으로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지역에 현지 공장 설립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지원 기자 s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