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러트닉 상무장관 "스마트폰, 컴퓨터 등 반도체 제품"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스마트폰, PC, 반도체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하자 국내 관련 업계가 한숨을 돌렸다. 이번 결정으로 글로벌 전자기업들은 관세폭탄으로부터 당분간 부담을 덜게 됐지만 반도체는 미국 정부가 별도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긴장감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현지시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 지침을 통해 스마트폰, PC, 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카드, 평면 패널 TV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반도체 제조 장비 등 20가지 품목을 상호관세 목록에서 제외했다. 20개 품목에 한해 중국에 부과하는 125%, 그 외 국가에 대한 10%의 상호관세 적용을 유예해 준다는 게 골자다.
이번 관세 유예 조치로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등 국내외 기업들은 한시름을 놓게 됐다. 미국은 현재 중국에는 125%를, 그 외 국가에는 10%의 상호관세를 각각 부과하고 있다.
최대 수헤자는 단연 애플이다. 미국 시장에 대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애플 등 미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율을 145%까지 인상하자 미국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다. 중국에서 주요 제품 상당량을 생산하는 애플은 4일만에 시가 총액이 7730만달러가 사라졌다.
삼성전자 역시 수혜를 입을 전망이다. 미국 정부가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 스마트폰, 노트북, 반도체 등 전자기기·부품은 삼성전자의 주요 먹거리 사업으로 중국에서 메모리의 상당량을 양산하고 있으며, 베트남에서는 스마트폰의 50% 가량을 생산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베트남의 상호 관세율을 46%로 정하고 정책 시행일은 90일 유예하겠다고 밝힌 만큼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도 계속될 수밖에 없었다.
다만 반도체 업계 입장에서는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평가다. 트럼프 정부는 반도체 자체를 상호관세 면제 대상으로 빼 놓으면서 동시에 별도의 품목 관세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UFC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마이애미로 가는 전용기 내서 취재진을 만나 "반도체에 대한 품목별 관세는 월요일(14일)에 답을 주겠다"고 말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전자제품들이 이번 관세에서 제외됐지만 1~2개월 안에 반도체 관련 무역 조사에 따라 별도의 관세 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러트닉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이 반도체 제품에 속하게 될 것이며 해당 제품들의 리쇼어링을 유도하기 위해 특별히 초점을 맞춘 형태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