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하루만에 또 車관세 면제 시사한 트럼프
스마트폰 관세 예외 질문엔 "무언가 검토 중"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자동차 회사들이 미국에 제조시설을 설립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 수입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시적으로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과의 회담 자리에서 '일시적인 관세 면제를 검토하는 특정한 물품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 제조업체가 캐나다와 멕시코, 다른 곳에서 생산하던 부품을 이곳에서 만들기 위해 전환하고 있는데 약간의 시가닝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자동차와 관련해 추가 관세 면제가 시행될 수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3일부터 자동차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다만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는 다음 달 3일 이전에 발효되는 것으로 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 제품이나 스마트폰 등 관세 예외 대상이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어쩌면 뭔가 나올 수도 있다(There'll be maybe things coming up)"라면서 "나는 (애플 최고경영자인) 팀 쿡과 이야기를 했고 나는 최근에 그를 도왔다. 나는 아무에게도 해를 끼치고 싶지 않다"라고 말했다.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최근 상호관세 대상에 스마트폰, 노트북 등 전자제품이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해 트럼프 행정부 고위 당국자들이 나서 국가안보와 직결된 반도체 및 전자제품은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거쳐 품목관세를 부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애플을 최근에 도왔다고 한 언급은 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AP통신은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해서는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재확인했다. 그는 "머지않은 미래에 해당 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며 "그것은 우리가 자동차에 대해 하는 것(품목별 관세)과 같을 것이며 관세가 더 많을수록 회사들은 더 빨리 (미국으로) 이전한다"고 언급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