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닌텐도, 소니’ 등 콘솔, 고관세 예고
관세 여파로 가격 인상 등 차질 우려
[마이데일리 = 박성규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57개국을 대상으로 최대 50%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면서 글로벌 게임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15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의 대중국 추가 관세 대상에 게임 콘솔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출되는 닌텐도 스위치2, 플레이스테이션5, 엑스박스 시리즈 엑스·에스 등 주요 콘솔 기기는 최대 145%의 누적 관세를 적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콘솔 하드웨어 생산 원가·소비자 판매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커졌으며, 미국 내 유통·출시 일정에도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닌텐도는 이달 미국에서 예정했던 차세대 게임기 닌텐도 스위치2의 예약 판매를 연기했다. 중국 고율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닌텐도는 관세 유예 대상인 베트남 생산라인을 확대해, 오는 6월 5일 출시 일정에 맞춘 생산량 확보에 나섰다. 미국 내 사전 예약 일정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생산 다변화를 통해 가격 상승 부담을 줄이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소니 플레이스테이션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 역시 상당 부분이 중국에서 제조되는 것으로 알려져 미국 시장 내 가격 인상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미국 게임산업 엔터테인먼트소프트웨어협회(ESA)는 최근 성명을 통해 “관세 부과는 게임 콘솔 제조업체와 개발자, 유통사뿐 아니라 최종 소비자인 이용자에게까지 피해를 주는 조치”라며 “미국 게임산업 전체에 실질적이고 해로운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관세 조치 파장은 콘솔 하드웨어에 그치지 않고, 게임 전반으로 번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게임은 트럼프 상호 관세 조치 발표 때 언급되지 않은 대표적인 업종이다. 상품 형태가 없는 무형 소프트웨어 서비스인 만큼 관세 부과가 쉽지 않다는 점이 주효했다.
하지만 관세 부과로 게임 기기 제품 가격이 상승하면 구매를 미루는 소비자가 늘어나 게임 판매 감소로 이어진다. 글로벌 소비 시장이 침체 역시 악재다. 게임은 필수재가 아닌 만큼 경기 침체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업종 중 하나다.
게임업계는 최근 몇 년간 콘솔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공략해 왔다. 닌텐도 스위치 플랫폼에서 넥슨의 <데이브 더 다이버>, 네오위즈 <스컬>·<산나비> 등이 성과를 올리며 글로벌 입지를 다졌다.
넥슨의 야심작 <퍼스트 버서커: 카잔>은 전문 유통사인 영국 파이어샤인을 통해 북미 콘솔 시장에 문을 두드리고 있다. 콘솔 게임에 필요한 CD 디스크 판매 유통라인까지 확보한 상황이다. 크래프톤 또한 라이프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의 콘솔 플랫폼 확장을 예고한 상태다.
또 게임 개발용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서버, 온라인 유통 인프라는 관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결국 디지털 게임 역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한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이번 관세 조치는 콘솔뿐 아니라 게임 개발, 유통, 소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변수”라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소비 심리 위축이 맞물릴 경우, 게임산업 전반의 성장 흐름에도 제동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성규 기자 psk@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