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미래 먹거리 선점…HVAC 등 현지 법인 찾아 B2B 사업 강조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아시아 신흥시장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지역 법인을 연이어 방문하며 현지 사업 전략 점검에 속도를 올리고 있다.
21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조 CEO는 최근 주요 경영진들과 함께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소재 LG전자 법인을 직접 찾아 현지 사업 현황을 점검했다. 1월 인도 출장 이후 3개월 만에 글로벌 사우스 지역을 다시 찾으며 현지 공략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앞서 조 CEO는 지난 달 정기 주주총회에서 "선진 시장 이외에도 아시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 '글로벌 사우스' 시장을 발굴해 신사업 기회를 확보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인도네시아는 인구 규모가 세계 4위로 빠르게 성장하는 나라로 LG전자 TV 생산 주요 거점이다. 베트남 하이퐁 공장에서는 가전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인도법인 기업공개(IPO) 추진에 이어 성장 가능성이 높은 아시아 지역 공략을 위한 행보로 분석되는 이유다.
이번 방문에서 조 CEO는 냉난방공조(HVAC), 상업용 디스플레이, 고효율 시스템 등 B2B 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데이터 기반 맞춤형 솔루션과 고객과의 중장기 파트너십 전략을 적극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사우스 지역은 풍부한 노동 인구와 저렴한 인건비를 기반으로 해외 주요 기업들의 투자가 잇따르고 있어 LG전자가 육성 중인 냉난방공조, 스마트팩토리 등의 B2B 사업 기회도 자연스럽게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들이 동남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데이터센터 대규모 투자에 나서면서 글로벌 사우스 지역에서의 냉난방공조 사업 기회는 빠르게 가시화되고 있다.
최근 LG전자는 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MS가 짓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칠러를 공급하기로 하는 등 성과를 내고 있으며, 글로벌 HVAC 업계 세계 1위인 일본 다이킨을 제치고 싱가포르 초대형 물류센터에 고효율 상업용 시스템 에어컨 '멀티브이 아이'를 공급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