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윤욱재 기자] 최희섭이 돌아왔다.
그간 두문불출하던 최희섭은 17일 팀 복귀에 합의하고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구단과 팬들에게 사죄의 뜻을 나타냈다.
팀 훈련이 시작됐음에도 불참해 의혹을 낳았던 최희섭은 구단에 트레이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고 구단이 트레이드 시장을 두드리는 지경에 이르렀다.
KIA는 수도권팀을 중심으로 협상을 벌였으나 결국 트레이드는 성사되지 못했다. 사실 애초부터 트레이드는 쉽지 않았다. 타율 .308 33홈런 100타점의 화려한 성적은 2009년의 일이었다. 이후 최희섭의 성적은 하락했다. 2010년엔 타율 .286 21홈런 84타점, 지난 해에는 70경기에만 나서 타율 .281 9홈런 37타점에 그쳤다.
거포로서 능력은 인정받았지만 최근 기록은 내세울 만한 것이 아니었다. 이런 상황에선 KIA가 쉽사리 트레이드를 진행하기 어렵다. 선수의 기대치와 가치의 차이가 크니 KIA와 협상 테이블에 앉은 타 구단의 입장은 그야말로 '동상이몽'인 것이다.
게다가 KIA가 트레이드 협상을 진행할 때 최희섭은 팀 훈련에 불참 중이었다. 팀 훈련을 참여하지 않는 선수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 상대에서 좋은 카드를 내주고 굳이 데려갈 필요가 없는 것이다.
'최희섭 파동'은 야구를 향한 선수 본인의 의지가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주는 사례로 남게 됐다. 겨우내 '몸 만들기'에 열중하는 것은 곧 선수 본인의 의지를 나타낸다. 그러나 최희섭은 이를 실행하지 않았다. 자신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결국엔 자신을 궁지로 몰게 했다.더 이상 피할 곳이 없게 된 최희섭은 결국 '백기투항'을 할 수밖에 없었다.
정상급 선수가 부상과 부진을 거듭한다면 당연히 마음고생을 할 수밖에 없다. 그렇더라도 프로 선수로서 책임감을 잃는다면 지지를 받기 어렵다.
역시 앞으로의 최희섭에게도 가장 필요한 것은 의지와 노력이다.
그래도 최희섭은 운이 좋은 편이다. 최희섭이 파동의 후유증을 털고 성실히 훈련에 임한다면 팀은 분명 그를 필요로 할 것이 때문이다.
최희섭은 분명 KIA 전력에 도움이 되는 선수다. 이범호, 김상현, 나지완 등 우타 일색의 중심타선보다는 '좌타 거포' 최희섭이 가세한 중심타선이 훨씬 매력적이다. 큰 키에 덩치도 큰 선수이지만 유연성을 갖춰 수비에도 메리트를 갖고 있다.
2009년 KIA 내야진은 분명 시한폭탄을 갖고 있었다. 2루수는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신인 안치홍이었고 유격수는 2007년 타격왕을 차지할 당시 3루수였던 이현곤이었다. 수비 때문에 늘 질책 받았던 김상현이 핫 코너를 맡고 있으니 '말 다했다'는 표현이 맞아 떨어졌다. 그러나 이들이 불안정한 송구를 하더라도 최희섭은 장신의 키와 유연한 몸놀림으로 다른 선수였더라면 잡을 수 없는 공을 잡아내며 내야진에 자신감을 키웠다.
당시 최희섭의 공수 만점 활약은 KIA가 우승으로 가는 과정 속에 분명히 자리하고 있다. 또한 2008년의 부진을 딛고 일어선 것이라 더 극적이었다. 위기를 극복한 경험이 있기에 이번 사태를 극복할 방법 또한 본인이 가장 잘 알 것이다.
[사진 = 마이데일리 DB]
윤욱재 기자 wj3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