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배선영 기자] 악마 장경철은 반달 최익현이 됐다. 섬뜩한 눈동자에 바짝 선 힘은 풀렸지만 남의 목숨을 제멋대로 앗아가던 광기가 삶에 대한 징글징글한 집착으로 변했다. 건달도 아니고, 일반인도 아닌 그래서 반달인 최익현 캐릭터가 배우 최민식(50)의 주름잡힌 얼굴에서 탄생했다.
영화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는 최민식 캐릭터가 차지하는 비중이 8할쯤 된다. 초반 검사의 발에 짓밟히면서도 능글능글하게 웃는 그의 잔상은 러닝타임 내내 곱씹히고 곱씹히며 그가 어떤 인간인지를 알게 해준다. 징글징글하지만 때로는 측은하기도 한 최익현에 대해 최민식은 "결국 그렇게 살 수 밖에 없던 사내였다"라며 연민에 가까운 느낌을 털어놓았다.
"영화는 건달세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비단 그런 상황이 아니더라도 우리 세계에 늘 있었던 사람이죠. 조선시대, 고려시대도 없었던 것은 아닐 겁니다. 다만 이 영화를 보면서 '원래 우리가 사는 세상이 이랬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심각하긴 심각한 거구나' 싶긴 했죠. 그래서 청소년 관람불가인가요?"
"딱 한국남자에요. 돈과 권력에 대한 욕망으로 가득한. 영화에서 보면 최익현이 빈 권총을 가지고 다니죠. 총은 곧 그에게 힘이에요. 사내애들은 어린애들조차도 총칼 들고 싸우잖아요. 태생적으로 본능적으로 모든 수컷들에게 힘에 대한 동경이 있어요. 그런데 그 빈총은 곧 최익현을 상징하는 거죠. 최익현은 총을 들고 쏘지 않고 그걸 빼서 사람을 때려요. 아휴, 제가 생각해도 다 창피해요. 차라리 망치로 때리지 무슨 총으로 때려요(웃음). 아마 총알이 들어있어도 그걸로 쏠 배짱은 없는 인간이에요. 빈총을 차고 다니는 건 곧 자기 위안이자 허세인 거죠."
익현의 권력지향적인 비굴한 모습이 인간의 어쩔 수 없는 속성인 것일까 생각이 드는 찰나, 최민식은 "온갖 인맥을 동원하려는 익현의 습성은 곧 자기 방어와 과시"라고 정리했다.
"'너 나 함부로 하면 안돼, 나 이런 사람이랑 친해'라는 거죠. 측은하고 연민이 가요. 개뿔도 없으면서. 그런데 사실 저 역시도 똑같아요. 집안 어른이 아파서 병원에 입원할라치면 저 역시도 접수하고 대기번호 받는 게 아니라 인맥을 찾게 돼요. 편법을 가장 먼저 떠올리는 거죠. 또 그걸 비리라고 체감하지도 않아요."
어쩌면 그래서 최민식의 최익현은 악마 장경철보다 더 섬뜩하다. 멀리가서 찾을 필요 없이 바로 내 자신이 최익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
'범죄와의 전쟁'은 2월 2일 개봉된다.
[최민식. 사진=곽경훈 기자 kphoto@mydaily.co.kr]
배선영 기자 sypova@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