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지영 수습기자] 이제 브라운관에 신데렐라는 없다.
과거 드라마는 평범한 캔디녀가 멋있는 재벌 남자주인공과 결혼하는 이야기가 많았다. 신데렐라 동화에나 나올 법한 캐릭터를 통해 시청자들은 대리만족을 느꼈고, 이는 '신데렐라 컴플렉스'를 양상했다.
하지만 여자들은 변했고 드라마 속에는 스스로 모든 일을 해결하는 주체적인 억척녀만 남았다.
KBS 2TV 주말드라마 '내딸서영이' 이보영이 맡은 이서영, '울랄라부부'의 나여옥(김정은), SBS 새 월화드라마 '드라마의 제왕'의 이고은(정려원)이 최근 브라운관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억척녀다.
이들은 남자에게 기대지 않고 자신이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일을 해결해 나간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 신데렐라가 되던 캔디녀는 자신의 일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마다 백마탄 남자주인공의 도움으로 해결했다. 하지만 억척녀는 말 그대로 자신이 처음부터 끝까지 해결한다. '내 일은 내가 알아서'라는 생각이 이들의 머릿 속에 박혀있다.
이런 흐름은 '골드미스'의 등장과 같이 시작됐다. '능력만 있다면 남자에게 기댈 필요 없다'는 골드미스들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개척해나간다. 드라마 속 신데렐라형 여주인공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던 여자들은 이제 '나'와 같은 인물의 성공기를 더 반가워한다.
드라마 제작사의 한 관계자는 "여성들의 성향이 변했다. 이제 시청자들은 자신을 구해줄 남자를 기다리기보다 자신을 이해하고 묵묵히 옆에서 지켜봐주는 남자를 더 선호한다. 특히 드라마 속 여자주인공들의 평균 나이가 많아지면서 나를 이해할 수 있는 연하남의 등장도 이와 같은 흐름이라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억척녀의 등장은 남자주인공들의 변화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남자주인공들 역시 먼저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주던 마초남의 캐릭터에서 키다리 아저씨가 많아졌다. 여성들의 일과 삶을 존중해주고 이해해 줄 수 있는 캐릭터가 더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드라마는 다양한 장르와 소재로 사랑받고 있다. 수준높은 시청자들을 사로잡기 위해선 과거 사랑받던 캐릭터와 소재로는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이제 식상한 캔디녀는 가고 자신의 삶에 능동적인 억척녀가 사랑받는 시대가 왔다.
[억척녀로 사랑받고 있는 김정은, 이보영, 정려원(맨위부터). 사진 = KBS 2TV '울랄라부부', '내딸서영이', SBS '드라마의 제왕' 방송화면 캡처]
이지영 기자 jyoun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