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진강 따라 증기기관차 달리는 기차마을
기차하면 떠오르는 곳이 있다. 골짜기가 하도 많아 땅이름조차 그리 붙여진 곡성은 이제 섬진강 기차마을로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서울 용산역에서 새마을호를 타고 남원을 지나 왼편으로 섬진강이 보이면 내릴 준비를 한다. 돌을 붙여 외관을 장식한 곡성역은 새로 지어 말끔한 모습이다. 철로 옆으로 17번 국도가 따라가고 그 옆으로 섬진강도 따라 흐른다. 자동차 드라이브 코스로도 훌륭한 이 곳은 한적하게 섬진강변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한껏 맡으며 상쾌한 여행을 즐길 수 있다.
관광열차인 증기기관차는 곡성역에서 출발하지 않고 역과 근접한 섬진강 기차마을에 있는 구 곡성역에서 탈 수 있다. 1999년에 전라선 개량공사가 마무리되면서 구 곡성역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다가 폐선을 이용한 증기기관차가 생기면서 역으로서의 역할을 되찾았다.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구 곡성역이 증기기관차 덕에 부활한 것이다.
이 증기기관차는 사실 일본이나 서구에서 볼 수 있는 '진짜'증기기관차는 아니다. 객차의 내부 역시 과거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어떻게든 옛 기차를 복원해 진정한 모습의 증기기관차를 구현해 놓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전라남도 곡성은 섬진강 기차마을이 생기기 전까지는 '춘향이'로 유명한 남원에 가려 빛을 못 봤다. 그러다 기차를 테마로 하는 기차마을이 생긴 후 덩달아 '심청이'도 되살아났다. 맘씨 고운 심청이와 잔잔히 흐르는 섬진강 옆으로 달리는 증기기관차, 레일바이크가 있는 곡성으로 여행을 떠나보자.
곡성의 레일바이크는 기차마을 내부의 1.6km를 수시로 도는 기차마을 레일바이크와 구 침곡역에서 구 가정역 간을 하루에 5회 운행하는 섬진강 레일바이크가 있다. 진정한 레일바이크를 원한다면 섬진강 레일바이크를 추천한다.
최혜진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