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
[마이데일리 = 고동현 기자] 박경완 코치가 현장으로 돌아왔다.
SK 와이번스 박경완 배터리코치는 은퇴 이후 여러가지 직함을 맡았다. 은퇴 이후 첫 시즌인 2014년에는 퓨처스팀 감독, 지난해에는 구단의 육성 전반을 살피는 육성총괄을 맡았다. 이제 다시 현장으로 돌아와 올시즌부터는 1군 배터리코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지난 1년이 '현장'에 대한 간절함을 만들었다.
박경완 코치는 1군 배터리코치가 된 소감에 대해 "지금보다는 작년이 힘들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어렸을 때부터 유니폼을 계속 입었는데 작년에는 한 번도 못 입었다. 1년을 그렇게 생활하다보니 내가 왜 이것(양복)을 입고 있는지 모르겠더라"고 밝혔다.
박 코치는 "그로 인해서 '유니폼을 입고 있을 때가 너무나 행복했구나'라는 절실함, 간절함이 많이 생겼다"고 현장으로 돌아온 기쁨을 표했다.
선수가 아닌 코치로 다시 유니폼을 입은 것이지만 의욕만큼은 선수 못지 않다. 그는 "가고시마 마무리 캠프에서 의욕이 앞섰던 것 같다"면서도 "선수들이 잘 따라왔다. 올해는 선수 때처럼 몸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도 설명했다. "코치는 말로 하는 부분이 많은데 조범현 감독님께서 처음 코치가 되셨을 때 내게 직접 시범을 보여주시니까 이해가 빨리 되더라. 말로 하는 것보다는 몸으로 직접 보여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또 코치로서는 첫 제자들이다. 열정이 더 강해지는 것 같다"고 전했다.
올시즌 SK 주전 포수는 이변이 없는 한 이재원이다. 박경완 코치 역시 이 부분을 인정했다. 다만 백업 포수의 중요성을 여러차례 설명하며 김민식, 이현석, 허웅 등이 올라와주기를 바랐다.
그는 "타격쪽으로 봤을 때는 (이)재원이가 가장 좋지만 수비로 보면 재원이보다 (이)현석, (김)민식이가 위일 수 있다. 재원이도 긴장해야할 부분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이재원의 체력관리 때문이다. 박 코치는 "재원이가 지명타자만 했을 때는 8~9월에 체력이 떨어졌지만 포수를 많이 했을 때는 한 달 먼저 그런 모습을 보였다. 포수는 그만큼 체력소모가 많다. 재원이는 수비도 잘해야 하지만 중심타선에서 잘해야 하는 선수다. 백업 포수가 잘해줘야 한다"고 이유를 언급했다.
누구보다 선수로 오랫동안 뛰었지만 그라운드는 여전히 계속 있어야 할 공간이었다. 지난해 양복을 입고 현장에 대한 간절함을 느낀 박경완 코치가 선수 때에 이어 지도자로도 성공시대를 열 수 있을지 주목된다.
[SK 박경완 배터리코치. 사진=마이데일리DB]
고동현 기자 kodor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