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종합
[마이데일리 = 이후광 기자] 대한민국 스키점프 선수에게 ‘국가대표’ 수식어가 붙은 지 어느덧 9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원조 ‘국가대표’의 한 축을 맡았던 김현기(35, 대한스키협회)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끝으로 선수 생활의 마침표를 찍었다.
김현기가 차지했던 국가대표 한 자리를 놓고 오는 9일 강원도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 센터에서 제2의 ‘국가대표’가 되기 위해 후보 선수 4명이 격돌한다.
이번 국가대표 선발은 지난해 8월에 열린 제48회 대한스키협회장배 전국 스키대회 당시의 대회 결과와 선발전 결과를 합산하여 진행된다. 현재 시정헌(24, 송호대학교 4)이 167.8점으로 2위를 차지한 이주찬(22, 한국체육대학교 4)에 41.5점차로 앞서있다.
그 동안 국가대표 후보 선수들은 2016년 6월부터 지금까지 해외우수팀 훈련캠프에 참가, 독일, 슬로베니아 등 스키점프 강국에서 외국인 코치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도를 통해 꾸준히 실력향상을 해왔다.
그 결과 이번 선발전에 출전하는 조성우(18, 한국체육대학교 1), 황석재(17, 강원스키협회)는 평창 동계올림픽 스키점프 경기에 전주자로 출전하여 대회에 한 몫을 차지하기도 했다.
김현기는 은퇴 후 현재 ‘아기 독수리 군단’으로 불리는 스키점프 키즈스쿨 선수들의 지도를 맡았다. 전 국가대표 지도자이자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스키점프 스포츠매니저로 활동한 김흥수(38, 대한스키협회) 코치와 함께 유소년 육성과 세대 교체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
새로운 코치들의 지도를 받은 스키점프 키즈스쿨 선수들은 이번 선발전의 번외로 K-15, 35 경기장에서 남•여 통합 순위결정전을 치른다.
[사진 = 마이데일리 DB]
이후광 기자 backlight@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