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승길 기자] 가수 김민기가 자신과 한국현대사에 큰 의미를 가지는 노래 '아침이슬'에 대해 이야기했다.
13일 방송된 JTBC '뉴스룸'에는 1970, 1980년대 저항가요의 상징 '아침이슬'을 만들고 부른 극단 학전의 김민기 대표가 출연해 손석희 앵커와 대화를 나눴다.
이날 손석희 앵커는 "그간 많은 분을 이 자리에 모셨지만, 오늘은 우리 대중음악사의 큰 강줄기에서 발원지에 있는 분을 만나 뵙는 것 같다. 어쩌면 오늘 이후로 문화초대석은 그만해도 될 것 같다"며 김민기를 인터뷰하게 된 벅찬 소회를 말했다.
이어 손 앵커는 "그런데 왜 방송 인터뷰에는 잘 응하지 않냐?"고 물었고, 김민기는 "우리끼리 우스갯소리로 하는 말이 배우들을 앞 것들이라고 하고, 스태프들을 뒷 것들이라고 한다. 그런데 지금은 뒷 것의 대표를 맡고 있다 보니 앞에 나서는 것이 부끄럽다"고 답했다.
그리고 김민기는 '아침이슬'의 탄생 과정을 처음으로 털어놨다. 그는 "미술대학에 입학을 하고 정릉, 수유리로 이사를 갔다. 그 때 반지하창고를 처음으로 내 개인 작업실로 쓸 수 있게 됐다. 그 곳에서 난 그림 작업을 하다가, 막히면 노래를 불렀다. 그 날도 한밤 중에 기타를 치면서 노래를 만들고 있었다. 그 때 가사가 막혀서 아무 생각없이 '그의 시련'이라는 가사를 '나의 시련'으로 바꾸어봤다. '나의 시련'으로 가사를 바꾸니 금방 노래가 풀리더라. '나의 시련'이라는 부분이 그 당시 젊은이들에게 다가갔고, 그래서 많이 불리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아침이슬'이라는 노래로 인한 부담감을 과거 토로한 것과 관련해 "이제는 거의 50년 전 이야기다. 나는 한참 떠나있었는데, 1987년에 많은 사람들이 노래를 부르는 것을 봤다. 그 전까지는 소문으로만 들었는데…. 그 때는 나도 군중 속 한 사람이었다. 그 순간 고개를 들 수가 없더라. 그 모든 사람들이 절절하게 부르니…. 그 때 느꼈다. 이건 내가 아니라 저 사람들의 노래라고. 그리고 부담은 사라졌다"고 고백했다.
[사진 = JTBC 방송화면 캡처]
이승길 기자 winning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