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곽명동 기자]‘암수살인’은 미리 패를 보여주고 시작하면서도 끝까지 긴장감을 유지하는 마력을 발휘한다. 범인은 등장할 때부터 감옥에 갇히고, 형사는 범인의 진술을 토대로 살인사건 추적에 나선다. 미지의 범인을 잡기 위해 뛰어다니거나(‘살인의 추억’), 관객은 아는데 경찰만 모르는 범인과 사투를 벌이는(‘추격자’) 것이 아니라, 거꾸로 범인이 형사를 궁지에 빠뜨리는 이야기를 촘촘한 플롯과 생생한 묘사, 그리고 치열한 심리전으로 담아냈다. 한국 범죄드라마의 새로운 경지다.
수감된 살인범 강태오(주지훈)는 형사 김형민(김윤석)에게 추가 살인을 자백한다. 형사의 직감으로 자백이 사실임을 확신한 형민은 태오가 적어준 7개의 살인 리스트를 토대로 수사에 들어간다. 태오의 추가 살인은 신고도, 시체도, 수사도 없어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암수사건으로, 이미 공소시효가 끝났거나 증거를 찾기 어려운 범죄다. 형민은 태오가 거짓과 진실을 교묘히 뒤섞고 있다는 걸 알게 되지만 수사를 포기하지 않는다.
‘암수살인’은 흩어진 증거를 최대한 찾아내 퍼즐 맞추기처럼 범죄를 입증하는 과정을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플롯으로 시종 흥미롭게 펼쳐낸다. 사실과 거짓이 교묘하게 뒤섞인 살인 리스트가 형사를 벼랑 끝으로 몰아가는 스토리는 허술한 빈틈없이 전개된다. 많은 형사 중에 왜 김형민을 지목했는지, 자백을 통해 얻으려고 하는 것이 과연 무엇인지를 늦게 알려줌으로써 오싹한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는 솜씨도 수준급이다.
이 영화는 연쇄살인이라는 어두운 사건을 다루면서도 따뜻한 연민을 품고 있다. 초동수사를 철저하게 하지 않아 암수사건을 만들어놓은 경찰 조직에 대한 비판을 최소화하는 한편, 가여운 희생자에 대한 죄책감을 통감하는 형사를 통해 범죄드라마에 온기를 불어 넣는다.
김윤석은 ‘거북이 달린다’ ‘극비수사’에서 알 수 있듯, 끝까지 추적해 범인을 찾아내는 형사 캐릭터에 적역이다. 감정을 폭발시키지 않으면서 이성적으로 끈질기게 수사하는 캐릭터를 뛰어나게 소화했다. 주지훈은 언제 터질지 모르는 광기를 번뜩거리며 뜨거운 연기를 토해냈다. 그는 자신의 필모그라피 가운데 대표작 하나를 힘껏 움켜쥐었다.
실화 사건 자체가 갖고 있는 흡인력 못지 않게 이 영화가 강조하는 것은 형사의 투철한 직업의식과 무서운 집념이다. 이제는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희생자를 한 명이라도 더 찾아내려는 그의 열정은 모두가 기억하고 존중해야할 삶의 자세다. 그것이 ‘암수살인’이 진정 하고 싶었던 이야기일 것이다.
[사진 제공 = 쇼박스]
곽명동 기자 entheos@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