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신소원 기자] 이종언 감독이 영화 '생일'을 연출한 배경과 세월호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6일 오전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에서 열린 영화 '생일 제작보고회에는 배우 설경구, 전도연과 이종언 감독이 참석해 이야기를 나눴다.
영화 속 주요 소재가 되는 '생일'은 곧 기억의 의미다. '생일하다'라는 생소한 단어는 '기억하다'로 풀이된다. 영화 속 순남(전도연)은 "당신은 '생일'을 왜 하고 싶어?"라고 묻고, 정일(설경구)은 "그날 수호도 올 텐데"라며 울먹인다. 이종언 감독은 "생일을 하면서 만난 여러 엄마 아빠들, 가족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감독은 실제로 세월호 유가족들의 생일 모임이 있다고 밝히며 "2014년 4월 16일에 있었던 일에 대해 우리는 다 안다. 2015년에 봉사를 하려고 안산에 갔다. 안산에는 여러 단체 활동가들이 유가족들을 돕는 단체들이 있었는데 치유공간 이웃이라는 곳이 있었다"라며 "설거지도 하고 사진도 찍어주는 일들을 도와드렸는데 그곳에서 아이 생일이 다가오면 엄마들이 많이 힘들어하는 것을 봤다. 생일 모임을 열었고 그 모임을 함께 했다"고 전했다.
또 감독은 자신의 해석이 개입되는 것을 극도로 꺼려했다고 전하며 조심스러웠던 점을 전했다. 그가 선택한 방법은 '거리두기'였고, 유가족에게 연락을 해 그때마다 확인을 했다고 전했다. 이 감독은 "항상 한 걸음 물러나서 있는 그대로를 보여드리고 싶어 했다. 오해의 해석이 들어갈까봐 고민을 많이 했다. 이제 충분히 고민을 다 한 것 같다고 생각했을 때도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서 유가족 분들과 통화를 했던 기억이 난다"라고 말했다.
이종언 감독은 유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줬다. 이 감독은 "처음에는 다가가기 조심스럽고 어려웠는데 오히려 다가와주셨다. 들으면 들을 수록 더 얘기했다. 계속 이야기를 듣고 생일 모임을 함께 하면서 이 영화로 만드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면서 만났던 분들에게 이 걸로 시나리오를 쓰고 있다고 말씀드렸다. 기꺼이 인터뷰한 분도 있고 일상을 함께 한 분도 있었다"라며 "글을 다 썼을 때쯤에는 프리 프리덕션 들어가기 전에 제작자 분들과 가족협의회를 찾아갔다. 힘내서 잘 하라고 조심스럽게 말씀을 주셨다. 그 때 많은 힘을 얻었다. 안산에서 유가족 시사회를 했다. 그 당시를 잊을 수 없다. 고맙다, 수고했다는 말을 들으면서 처음으로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말 한 마디, 단어 하나를 말하면서도 조심스러워했다. "오늘도 제작보고회가 끝나고나면 (유가족들과) 최종본을 함께 본다"라며 "여러 아이들이 마음에 들어왔다. 수호라는 아이로 나온 것 같다. 아빠, 엄마도 동시에 만나게 됐는데 여러 분들의 모습들이 들어왔다"라고 전했다.
한편 '생일'은 2014년 4월 16일 세상을 떠난 아들의 생일날, 남겨진 이들이 서로가 간직한 기억을 함께 나누는 이야기다. 오는 4월 3일 개봉 예정이다.
[사진 = 송일섭 기자 andlyu@mydaily.co.kr]
신소원 기자 hope-ssw@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