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마이데일리 = 신소원 기자] "세월호 이야기를 그린다고 해서 선택했던 게 아니에요."
28일 오전 서울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열린 영화 '생일'(감독 이종언 배급 NEW) 인터뷰에는 배우 설경구가 참석했다.
'생일'은 2014년 4월 16일 세상을 떠난 아들의 생일날, 남겨진 이들이 서로가 간직한 기억을 함께 나누는 이야기다. 설경구는 극 중 아들이 세상을 떠나던 날, 아버지의 자리를 지키지 못해 가족에 대한 미안함을 안고 살아가는 아빠 정일 역을 맡아 섬세한 감정 연기를 선보인다.
설경구는 '불한당: 나쁜 놈들의 세상', '살인자의 기억법', '우상'에 이어 '생일'로 관객들을 만난다. 설경구는 '생일'에 대해 "과하지 않고 담담하게 잘 나온 것 같다"라고 말했다.
"'우상' 촬영이 예상보다 많이 늦어졌어요. 그래서 '생일' 시나리오를 받을 수 있는 스케줄이 아니었는데 친분이 있다보니까 급한 마음에 나한테 온 것 같았어요. 답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책을 읽어봐야 결정하겠지만 여름에나 가능할 것 같다고 했어요. 제가 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었어요. 한달 후에 들어간다고 했는데 '우상' 반도 못 찍고 있을 때였어요."
설경구는 '우상' 촬영 중 받은 '생일' 촬영에 대해 베를린영화제 가있는 일주일동안 생각했다. 거절을 할 생각이었지만 결국 답은 시나리오에 있었다.
"오히려 편하게 생각하기로 했고 편하게 거절을 하는 게 맞지 않나 싶었어요. 그런데 읽고 나서 생각이 좀 바뀌었어요. 해보고 싶다고 생각해서 제 분량을 빨리 찍겠다고 했고 그 때서야 촬영 속도가 났어요. 그래서 제 분량 끝나고 열흘 안돼서 들어갔어요. 그 때 제가 정말 낯설었어요. 노랗게 탈색된 머리를 검정색으로 다시 염색하니까 너무 낯설었는데 오히려 이렇게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했어요. 낯선 모습으로 낯선 상황에 들어간 거였어요."
'생일'은 세월호 참사 이후 남겨진 가족들의 이야기를 그리는데, 이에 대한 설경구의 생각을 물었다.
"'생일'이 세월호라서, 세월호 가족이라서는 아니었어요. 이종언 감독이 제가 '여행자'할 때 연출부여서 잠깐 마주쳤어요. 술자리를 할 때 깊이 대화하는 사이는 아니었는데 감독에 대해 설명을 많이 해주셨어요. 단단하다는 느낌이 들었어요. 시나리오 자체가 쉽지 않았는데 신인인데 잘 풀어나갈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촬영하기 전인데도 이종언 감독에 대한 믿음이 있었어요. 세월호 이야기를 하지만, 보편적인 이야기일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저 사람들이 큰 참사를 겪고 나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봤어요. 보편적인 상황에서도 충분히 내용이 풀어질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자극적이지 않고 일방적이지 않은 이야기가 나쁘지 않았어요."
설경구는 '세월호 영화'라는 프레임에 갇혀 이 작품 자체를 안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이들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촬영할 때 그 부분은 닫아두고 찍었는데 점점 시간이 가니까 신경이 쓰였어요. 반대의 목소리도 있었으니까요. 작년 11월에 유가족 편집본 시사를 했는데 뭔가 빡 오더라고요. 그때부터 신경이 쓰여요. 과연 어떻게 볼까, 어떻게 봐주실까, 일반 관객들에게 어떻게 전달이 될까 싶어요. 오해는 없을까, 감독님의 말처럼 또 상처를 주는 것은 아닐까 싶기도 했어요. 지금도 그런 생각을 하고 있어요."
한편, '생일'은 오는 4월 3일 개봉 예정이다.
[사진 = 씨제스 엔터테인먼트 제공]
신소원 기자 hope-ssw@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