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NBA
[마이데일리 = 울산 김진성 기자] "정말 막기 어려운 선수다."
전자랜드 김승환 코치는 21일 현대모비스와의 챔피언결정5차전을 앞두고 "그 선수는 정말 좋은 선수다. 막기 어렵다"라고 인정했다. 현대모비스 단신 외국선수 섀넌 쇼터. 전자랜드는 이번 챔프전 내내 쇼터를 효과적으로 막지 못했다.
일단 쇼터는 공수전환이 상당히 빠르다. 현대모비스가 몇 년 전부터 시작한 공격횟수의 증가와 그에 따른 얼리오펜스 농구를 완성한 주인공이다. 쇼터와 이대성, 양동근이 이끄는 2~3쿼터 속공, 얼리오펜스는 알고도 막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상대 실책에 공을 잡으면 재빨리 볼을 처리한다. 이때 나머지 선수들이 재빨리 스페이스를 잡는다. 쇼터는 한 템포 빨리 날카로운 패스를 뿌리거나 직접 돌파나 플로터, 점퍼, 페이드어웨이슛, 3점슛으로 마무리한다. 공격옵션도 다양한데, 패스센스까지 갖췄다. 한 마디로 매우 다재다능하다.
전자랜드가 1,4쿼터에 현대모비스에 크게 밀리는 건 아니다. 그러나 2~3쿼터 얼리오펜스 제어에 어려움을 겪는 건 분명하다. 전자랜드가 공격 성공률을 높이면, 자연스럽게 현대모비스 속공, 얼리오펜스 빈도는 낮아진다. 그러나 실수를 하지 않는 건 쉽지 않다. 현대모비스는 리그 최고의 백코트 이대성, 양동근, 골밑에 라건아와 함지훈이 버티고 있다. 수비조직력부터 아주 좋다.
현대모비스의 숙제는 역시 4차전서 긴급하게 합류한 투 할로웨이다. 그러나 유재학 감독은 결국 승부는 4쿼터에 난다고 봤다. 다만, 4차전서 매우 임팩트 있는 돌파력과 3점포, 준수한 패스센스를 과시했다. 유 감독의 결론은 "상황에 따라 선수들에게 맡기겠다"였다. 할로웨이가 2대2를 할 때, 슛 컨디션을 감안해 스크린을 뚫고 마크하는 파이트스루나 뒤로 돌아들어가는 슬라이더를 선택하겠다는 뜻.
찰스 로드의 초반 응집력이 매우 좋았다. 전반적인 리바운드 응집력이 전자랜드의 우세. 자연스럽게 전자랜드가 주도권을 잡았다. 그리고 1쿼터 막판 투입된 할로웨이는 예상대로 강력했다. 유 감독은 "개인능력이 좋은 선수라 기본적으로 막기 쉽지 않다"라는 입장이고 , 실제 그랬다.
할로웨이는 2쿼터 중반까지 경기를 지배했다. 돌파 후 빼주는 패스를 정효근이 3점슛으로 연결했고, 직접 돌파 후 페이드어웨이슛도 터트렸다. 현대모비스는 할로웨이의 돌파에 라건아나 함지훈이 적극 견제했다. 결국 전자랜드는 7~8점차까지 달아났다.
그러나 현대모비스는 그냥 무너지지 않았다. 역시 쇼터가 움직였다. 일단 전체적인 수비 출력을 높이면서, 공수전환을 빠르게 했다. 쇼터 특유의 수비수를 불러들인 뒤 빼주는 패스가 잇따라 나왔다. 돌파력이 좋으니 기본적으로 떨어질 수 없는데, 이때 동료에게 건네는 패스, 동료들의 스페이스 잡는 능력이 상당하다. 실책을 하면서 공격밸런스가 무너진 전자랜드가 쇼터의 속공을 저지하기 위해 더 빠르게 수비밸런스를 잡는 건 힘들었다.
결국 2쿼터 막판 흐름을 탔고, 3쿼터에 승부가 뒤집혔다. 여기에 전자랜드 국내선수들의 활동량이 조금씩 떨어졌다. 함지훈이 움직이면서 중거리포와 골밑슛을 잇따라 만들어냈다. 반면 로드는 전반에 비해 응집력이 확 떨어졌다. 할로웨이 역시 후반에 전반보다 주춤한 형국.
현대모비스는 그 틈을 놓치지 않았다. 골밑에서의 수비를 강화했다. 라건아와 함지훈이 포스트를 장악하면서, 로드와 전자랜드 국내선드를을 더욱 위축했다. 그럴수록 전자랜드는 1대1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10점 내외로 벌어진 상황서 전잘내드가 할로웨이를 넣어 마지막 승부를 던졌다.
하지만, 경기종료 5분12초전 양동근의 좌중간 3점포가 결정적이었다. 이대성이 드라이브 인에 실패한 뒤 다시 공을 잡았고, 뒤따라 들어간 양동근이 이대성에게 공을 받아 한 방을 날렸다. 이 한 방으로 경기는 정리됐다. 경기 후반 쇼터가 라건아 대신 투입, 직접 쐐기를 박았다.
자세히 살펴보면, 현대모비스가 이긴 1,3~5차전 모두 경기흐름을 잡는 건 쇼터였다. 라건아, 이대성의 화려함에 상대적으로 가린 측면이 있었다. 하지만, 쇼터는 분명 강력했다. 적장의 코치도 인정했다. 그렇게 현대모비스가 완벽에 가까운 통합우승을 달성했다.
[쇼터. 사진 = 울산 유진형 기자 zolong@mydaily.co.kr]
김진성 기자 kkomag@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