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김미리 기자] ‘유희열의 스케치북’이 음악 프로그램계의 ‘전국노래자랑’을 꿈꿨다.
23일 서울 영등포구 KBS 쿠킹스튜디오에서 진행된 KBS 2TV ‘유희열의 스케치북’ 10주년 기자간담회에 조준희PD, 박지영PD, 유희열, 강승원 음악감독이 참석했다.
‘유희열의 스케치북’은 지난 2009년 4월 24일 첫 방송을 시작, 오는 26일 440회를 맞는다. 지금까지 약 950여 팀의 뮤지션이 다녀갔으며, 10년이라는 시간 동안 뮤지션뿐 아니라 시청자에게도 역대급 무대들을 선사하며 사랑 받고 있다.
이날 박지영 PD는 “제가 연출을 하는 것도 영광인데, 남다른 의미인 10주년을 같이 할 수 있게 돼 크리에이터로서 시청자로서 여러 의미로 뿌듯하고 기쁘다. 오래오래 좋게, 한국 대중음악의 지평을 계속 이어가는 브랜드로서 여러 분들이 수고해주시고 있고, 계속 발전해나갔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조준희 PD도 “KBS PD들, 특히 예능 PD 등 웬만한 피디들은 대부분 ‘유희열의 스케치북’을 연출하고 싶은 욕심이 있다. 저도 운 좋게 지금 하고 있고, 게다가 10주년 시기에 하고 있어 기쁘다. 예전에는 음악만 하시는 줄 알았던 토이의 이런 분과 같이 일하게 돼 기쁘다”며 “KBS에 장수 프로가 많다. ‘전국노래자랑’을 따라 잡을 수 있을 정도로 하고 싶다는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다”는 너스레로 10주년을 맞은 기쁨을 표현했다.
유희열은 “1회 녹화가 끝나고 대기실에서 간단한 소감을 이야기했던 게 기억난다. ‘맡게 돼 영광’이라고 했던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10년이 지났다는 게 믿기지 않는다”며 “기분이 좋다”고 말했다.
10년 동안 ‘유희열의 스케치북’을 진행해 온 유희열. 박 PD는 MC 유희열의 매력으로 뮤지션, 음악을 아끼는 마음을 꼽았다. 박 PD는 “음악적 전문성과 오랜 라디오 진행 능력으로 인한 검증된 능력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건 출연하는 뮤지션들을 진정으로 아끼고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이 느껴진다”며 “여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계시지만 이 프로그램에 남다른 애정이 있다고 느껴진다. 전문지식이나 진행을 잘 하는 능력은 물론이고, 나오는 뮤지션들을 어떻게 대하고, 같이 성장할 수 있는가를 고민하는 게 담당 PD로서 100% 만족하고 있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점은 ‘유희열의 스케치북’이 거창한 10주년 특집을 준비하지 않은 데서도 엿볼 수 있었다. 이는 MC 유희열의 요청이었다고. 제작진에게 “평상시랑 똑같이 해달라”고 요청했던 것. 대신 유희열이 ‘유희열의 스케치북’ 무대에 오르게 됐다고.
“저에게 ‘노래를 하지 그래?’라고 해서 ‘알겠다’고 했는데 굉장히 후회하고 있다”고 털어놔 웃음을 안긴 유희열은 “제작진들은 너무 즐거워하고 있다. 그걸 또 심지어 음원으로 내겠다고 했다. 제 이름으로 나오는 음원이 한 5년만인 것 같다. 지금 초 긴장상태”라고 털어놔 웃음을 자아냈다.
무려 10년이라는 세월동안 정통 음악 프로그램으로서 시청자들과 만나고 있는 ‘유희열의 스케치북’. 박 PD는 이 원동력으로 ‘본질’을 꼽았다. 그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기본 가치를 유지하고 있는 프로다. 어떻게 보면 기본에 충실한 프로기 때문에 큰 변화에도 이 자리를 지키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유희열은 “두세 가지 정도의 이유인 것 같다. 타 음악 프로그램과 달리 살아남을 수 있었던 첫 번째 이유는 ‘스케치북’이 개별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 ‘이문세쇼’, ‘이소라의 프로포즈’, ‘윤도현의 러브레터’, ‘이하나의 페퍼민트’, ‘유희열의 스케치북’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스케치북’은 그 가운데서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 시간, 현실이 바뀌면서 여러 제작비 문제, 경쟁력 그런 것 때문에 위긱 많았다. 그럴 때마다 지켜줬던 분들께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 가지 이유를 더 생가한다면 저희가 게스트가 없으면 안 되는 프로다. 음악계에서 이 프로를 소중히 생각해준다. 아직까지 중요하게 바라봐주시기 때문에 지금까지 지켜진 게 아닌가 싶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박 PD는 “저희 프로그램이 화려하지는 않지만 의미 있고 감동이 있는 프로라고 생각해주신다면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주시면 좋겠다”며 “저희 프로에 오시는 관객, 나오시는 뮤지션, 지켜봐주시는 시청자 분들 모두 즐거운 시간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더 열심히 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
조 PD는 “4년 전 잠깐 연출을 맡았다 다시 온 지 얼마 안 됐다. 운 좋게 10주년 이 자리에 있어 감사하다. 10주년 동안 MC유희열, 딩동, 제작진, 스태프, 매주 객석을 꽉 채워주시는 관객, 시청자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며 재차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유희열은 “이 프로는 프로그램명 팡세 이름이 붙어 있어 사실 너무 부끄럽다. 심지어 ‘전국노래자랑’도 ‘송해의 전국노래자랑’이 아닌데 감히 ‘유희열의 스케치북’이라 죄송한 마음”이라고 고백해 웃음을 안긴 뒤 “전 준비해준 상태에 나가 잠깐 진행을 하는 것 뿐”이라며 제작진, 밴드 등에게 영광을 돌렸다.
한편 오는 26일 방송되는 ‘유희열의 스케치북’은 10주년 특집이 아닌, 평소와 마찬가지로 음악과 소통에 초점을 맞춰 시청자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김현철, 크러쉬, 볼빨간 사춘기, 우주왕복선싸이드미러가 출연한다. 10년 동안 함께 해 온 MC 유희열도 이날만큼은 MC가 아닌 뮤지션으로 무대에 설 계획이다. 26일 밤 11시 20분 방송.
[사진 = KBS 제공]
김미리 기자 km8@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