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산후보약 복용으로 어혈과 노폐물을 제거한 후 가벼운 운동으로 서서히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
출산을 앞둔 여성들은 아기를 어떻게 잘 키울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출산 후 자신의 건강과 체중의 회복을 고민하곤 한다. 임신 기간 중 태아의 무게와 자궁 내 양수, 태반 등의 무게로 인해 체중이 증가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산후조리 기간 동안 체중을 서서히 빼야 산후비만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임신과 출산 후 여성의 몸에는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체중의 증가는 물론 자궁의 건강, 출산 과정에서 골격 변화 등 신체 전반적인 손상이 나타남과 동시에 정신적으로도 약해진 상태인 경우가 많다. 여기에 체중 감소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해지게 된다면 산후우울증으로 이어져 아기를 건강하게 양육하는데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산후 6개월이 지나도록 체중이 원래대로 회복되지 않는 경우를 산후비만으로 볼 수 있다. 산후비만은 부종이 제대로 빠지지 않아 나타날 수 있으며 운동 부족이나 육아 스트레스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임신 중 과도한 체중 증가로 인해 산후비만을 겪는 산모들도 많다.
6개월 안에 체중을 관리해야 한다는 사실에 산후조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상태에서 과도한 절식 다이어트를 하게 된다면 대사에 문제를 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내분비 기능과 면역도 문제가 되고, 관절 아픈 산후풍도 찾아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산후보약을 복용하면서 건강을 먼저 회복한 후에 체중을 서서히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분당 이종훈여성한의원 한의학 박사 이종훈 원장은 “아기를 낳은 후에도 출산 전 몸무게를 되찾은 사람들을 TV나 SNS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되면서 많은 산모들이 산후비만과 산후다이어트에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산후조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나친 다이어트는 평생을 괴롭히는 산후풍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하며 산후조리와 산후다이어트의 관계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이 원장은 “산후보약은 부종을 완화하고 체내 어혈과 노폐물을 제거하며 기혈을 보충하기 때문에 산후조리와 산후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또한 산후풍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어 복용 시 출산으로 인해 약해진 몸을 건강하게 회복시킬 수 있다”라고 말했다.
산후보약은 크게 생화탕과 보허탕으로 나눌 수 있다. 출산 과정에서 생긴 어혈을 제거하고 오로를 배출시킴으로써 부종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생화탕은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된다. 생화탕 복용 후 보허탕으로 기혈을 보충하고 자율신경을 건강하게 복구하여 산후풍을 예방할 수 있다.
출산 후 산모들은 임신 전과 확연히 달라진 몸을 보며 우울증이 올 수 있으며 육아나 살림으로 인해 쉽게 지치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힘들어지기 쉽다. 산욕기인 6~8주에는 산후보약을 복용하여 기본적인 체력을 증진시키고 건강을 먼저 회복해야 하며, 그 후에 가벼운 운동부터 시작해 체중관리를 해주는 것이 산후비만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사진 = 분당 이종훈여성한의원]
이석희 기자 young1997@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