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연예
[마이데일리 = 이예은 기자] SBS 금토드라마 '더 킹-영원의 군주'(감독 백상훈 정지현 연출 김은숙) 측이 일본의 사찰 건축 양식을 따 왜색 논란이 불거진 것에 대해 인정,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지난 17일 밤 첫 방송된 '더 킹-영원의 군주'는 대한민국과 대한제국, 두 평행세계를 그리는 판타지극이다. 시청자들의 기대를 안고 베일을 벗은 드라마는 시작과 동시에 왜색 논란에 휩싸였다. 타이틀 영상에 사용된 대한제국 궁궐 이미지가 일본의 건물 양식과 유사했던 것. 일본의 목조건물 동대사(도다이지) 이미지가 사용됐다고 주장하는 네티즌들도 있었다.
이와 관련해 드라마 제작사 화앤담픽쳐스 관계자는 20일 마이데일리에 "목탑의 경우 백제역사재현단지에 전시된 ‘백제5층목탑’을 베이스로 하였으며, 자료로 남아 있는 목탑의 특징을 재배치하여 가상의 목조건물을 만든 것으로 오해가 없으셨으면 한다"고 일부 해명했다.
다만 "그러나 2층 목조건물의 경우 우리나라 사찰과 중국의 궁의 특징을 베이스로 하여 가상의 목조건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본 사찰의 일부 특징적인 부분이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대한제국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쓰지 못한 점은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명백한 제작진의 실수이며,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이며 타이틀 디자인 수정, VOD 서비스 교체 등을 약속했다.
또 대한제국 황실문양에 대해선 "국회나 행정부가 황실을 중심으로 하는 입헌군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오얏꽃이 오얏꽃을 감싸는 '이중 오얏꽃' 형태로 디자인됐다. 일본 왕가 문장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이하 제작사 화앤담픽쳐스 입장 전문.
현재 이슈가 된 부분에 대한 제작사 화앤담픽쳐스의 입장을 알려드립니다.
우선, 대한제국 황실문양과 관련하여 말씀드립니다.
대한제국의 황실문양은 국회나 행정부가 황실을 중심으로 하는 입헌군주제를 표현하기 위해, 오얏꽃이 오얏꽃을 감싸는 '이중 오얏꽃' 형태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일본 왕가 문장과는 전혀 무관하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타이틀 제작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먼저, 목탑의 경우 백제역사재현단지에 전시된 ‘백제5층목탑’을 베이스로 하였으며, 자료로 남아 있는 목탑의 특징을 재배치하여 가상의 목조건물을 만든 것으로 오해가 없으셨으면 합니다.
그러나 2층 목조건물의 경우 우리나라 사찰과 중국의 궁의 특징을 베이스로 하여 가상의 목조건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일본 사찰의 일부 특징적인 부분이 사용되었음을 확인 하였습니다.
대한제국이라는 가상의 공간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쓰지 못한 점은 이유여하를 불문하고 명백한 제작진의 실수이며, 진심으로 사과 드립니다.
제작진은 타이틀 디자인을 즉시 수정하고, 3부 방송부터는 시청하시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할 것이며 이미 방송 된 부분도 재방송, VOD 서비스 등은 교체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사죄의 말씀을 드리며, 좋은 드라마를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사진 = SBS 방송화면]
이예은 기자 9009055@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