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지난 21일 코로나19비상대응특별위원회 제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홈페이지 캡처]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22일 "현정부의 방역정책은 '정치방역'"이라며 "새 정부는 과학방역, 즉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결정을 하겠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인수위 산하 코로나19비상대응특별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고 있다.
안 위원장은 이날 오후 서울 삼청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전날 코로나비상대응 특위 회의 결과와 관련해 “(문재인정부는) 여론에 따라 정책을 결정했다. 그래서 여러 실수가 나왔던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는 과학방역, 즉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 결정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계획으로 코로나19 경구용(먹는)치료제 ‘팍스로비드’의 복제 가능성을 타진해보겠다고 말했다. 제약사인 미국 화이자사에 로열티를 내고 국내에서 복제약을 만들 수 있는지 문의해보겠다는 것이다.
안 위원장은 “팍스로비드 등 경구치료제가 굉장히 모자란다. 아마도 이번 달 지나고 4월이 되면 완전히 동이 날 가능성이 있다”며 “경구 치료제 확보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치료제가 부족해서 돌아가시는 분들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전했다.
그는 “재택 치료보다는 1차 의료기관, 그러니까 동네 의원들에서 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바꿔야 한다”며 “고령이나 기저질환 등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확진자가 계시는데 그분들에게 증상이 나타나면 최우선으로 검사하고 치료받을 수 있게 하는 패스트트랙을 만드는 게 좋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백신 부작용 데이터 이런 자료를 모두 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분석해야 한다”며 “그래야 다음에 또 새롭게 다가올 팬데믹에 우리가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일반 국민 대상으로 항체 양성률을 정기적으로 조사해서 방역 정책에 반영하는 게 좋을 것”이라며 “더 정확하게 어느 정도 국민들이 지금 한 번씩 감염됐다가 회복됐는지 알기 위해 전 국민 대상으로는 물론 여론조사 방식으로 샘플링하는 방안을 생각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논란이 됐던 5~11세 소아 백신 접종과 관련해선 “본인과 부모의 선택에 맡기는 게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모았다”며 “방역패스 역시 더는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영업 중단에 따른 손실 보상과 관련해선 “소상공인·자영업자들 영업 상황이 아직 정상화가 되지 않았다. 금융위원회에 금융권과 조속히 협의를 완료해서 만기 연장, 상환유예 조치 시행할 것을 인수위 차원서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