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마이데일리 = 구현주 기자] “정보 유출과 인터넷 서비스 오류로 불편을 겪은 고객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피해고객만이 아닌)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 무상교체를 실시하겠다."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가 16일 오후 서울 용산 본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황 대표는 그간 발생한 고객정보유출과 디도스 공격으로 인한 인터넷 서비스 오류에 대해 사과하고, 개선방안으로 사이버 안전혁신안을 발표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따르면 LG유플러스 고객 개인정보 유출 피해는 현재 29만명의 60만건이다. 암호화된 주민번호, 유심 등 정보가 유출돼 스미싱 등 범죄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LG유플러스는 디도스 공격으로 인해 올해 1월 29일과 2월 4일 인터넷 접속 오류가 발생했다. 디도스 공격이란 많은 PC를 원격 조종해 특정 웹사이트에 동시에 접속시킴으로써 단시간 내에 과부하를 일으키는 행위다.
향후 이와 관련해 학계, 법조계, NGO(비정부기구) 등과 함께 피해지원협의체를 구성해 고객별 유형을 고려한 ‘종합 피해지원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알뜰폰 고객도 피해지원에 포함된다.
황 대표는 “더 많은 인력과 투자가 필요함을 절감했으며 단기간 내 연간 정보보호 투자액을 현재 3배 수준인 1000억원으로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발표된 사이버 안전혁신안은 △정보보호 조직·인력·투자 확대 △외부 보안전문가와 취약점 사전점검·모의 해킹 △선진화된 보안기술 적용과 미래보안기술 연구·투자 △사이버 보안 전문인력 육성 △사이버 보안 혁신 활동 보고서 발간 등으로 구성된다.
LG유플러스는 CISO(전사정보보호)·CPO(개인정보보호책임자)를 CEO 직속 조직으로 강화하고, 영역별 보안 전문가를 영입해 역량을 강화한다.
보안컨설팅기업과 전문기관, 학계에 종사하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정보보호위원회를 운영하고, 보안기술과 관리체계를 점검한다.
AI(인공지능)을 활용한 보안위협 분석·대응체계를 인프라에 적용한다.
공격자가 내부에 있다는 전제로 보안수준 강화방안을 마련하는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에 기반한 최신 기술로 전사적인 보안수준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이같은 사이버 보안 혁신활동을 매년 ‘사이버 안전혁신 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황 대표는 “디도스 공격이 1월 29일 이후 계속 있어 우선 이를 막아내는 데 총력을 기울이면서 외부 사과 입장문 발표가 늦어졌다”며 “오늘 발표한 사안에 대해 직접 책임을 지고 보안과 품질에 가장 강한 회사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사진 = 구현주 기자]
구현주 기자 winter@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