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홍준표 대구시장은 유시민 전 노무현 재단 이사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검찰 수사를 윤석열 대통령이 지시했다는 취지의 칼럼을 쓴 것과 관련해 "유시민 특유의 상상력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디지털타임스에 따르면 홍준표 시장은 20일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재명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두고 갖가지 설이 난무한다. '정적 제거설'이 있지만, 단임제 대통령에게는 정적이 있을 수 없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홍 시장은 "유 전 이사장은 온갖 논리를 동원하고 있지만, 그건 유시민 특유의 상상력에 불과하다"며 "감히 추측하면 그건 법치주의에 따른 윤 대통령 특유의 기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현 상황을 짚었다.
그는 "윤 대통령은 검사 시절부터 국정원 댓글사건에서 보았듯이 정치주의를 극력 배격하고 법치주의를 천명해 왔다"면서 "이른바 '국정농단' 사건 수사에서도 무리할 정도로 철저히 법치주의를 지켰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명 대표 사건도 정치주의가 아닌 법치주의로 처리하다 보니 작금의 여야 충돌이 깊어진 것"이라며 "이 대표는 정치로 풀어 볼려고 여야 영수회담을 줄기차게 주장하나, 윤 대통령에게는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법치주의와 정치주의가 맞붙은 형국이지만, 시대의 흐름이 법치주의가 우선이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 유시민 전 이사장은 시민언론을 자처하는 '민들레'라는 매체에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한 칼럼을 기고했다.
유시민 전 이사장은 이 칼럼에서 "검찰이 왜 이토록 집요하게 이재명을 노리는가? 윤석열 대통령이 시켰다고 보는 게 합당하다"면서 "그렇지 않다면 대통령실 인사가 영장 청구가 한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고 공언하거나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이 이재명 대표를 범죄자로 간주하는 듯한 언사를 내뱉을 수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유 전 이사장은 윤 대통령과 이재명 대표의 검찰 수사 동향에 대해 "그러면 대통령은 왜 그러는 걸까. 본인이 말하지 않으니 우리가 추리할 수밖에 없다"며 "동기를 추정하는 가설이 둘 있는데, 어느 게 맞는지 나는 판단하지 못하겠다. 하나는 '감정', 다른 하나는 '전략'이다. 둘 모두 증명할 수는 없으니 '이론'이 아니라 '가설'이라 하자"고 가정했다. 이어 "'감정설'은 단순하다. 대통령이 이재명을 싫어해서 감옥에 집어넣으라고 지시했고, 검사들은 결과적으로 지시를 이행하지 못해도 최선을 다했다는 인정은 받아야 하기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무슨 짓이든 할 수 있는 것은 다 한다. 뭐, 그런 가설이다"라며 "이 가설의 최대 약점은 상식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일국의 대통령이 설마?' 최소한의 상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다 이렇게 반문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략설'은 조금 복잡하다. '대망'류의 일본 대하소설이나 '삼국지' 같은 중국 고대소설을 즐겨 읽은 사람들은 이 가설에 끌린다"며 "대통령이 이재명을 반드시 제거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면 당대표나 차기 대선 후보 자리를 노리는 민주당의 야심가들이 희망을 품고 움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사실의 근거가 있든 없든, 온갖 사건을 들추어 언론에 정보를 흘리고 구속영장 청구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이재명을 계속 흠집 내면서 내년까지 상황을 끌고 가면 국민이 넌덜머리가 나서라도 이재명이 대표로 있는 민주당을 찍지 않을 것"이라며 "그럴듯해 보이는 '전략설'의 최대 약점은 경험과 충돌한다는 것이다. '설마! 우리 대통령이 그런 작전을 할 정도로 똑똑하다고?' 윤 대통령을 주의 깊게 지켜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다 그렇게 반문할 것"이라고도 했다.
끝으로 유 전 이사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왜 이재명을 제거하려고 하는지 정색하고 분석 비평하려면 사실의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말이 되는 말을 하나도 하지 않으니 아무 대책이 없다"면서 "'감정설'에 한 표를 주고 싶은데 확신할 근거가 없다. 칸트 스타일의 '불가지론'이 비상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받아들였더니 마음이 한결 편해졌다"고 윤 대통령을 깎아내리는 듯한 글을 덧붙였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