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제
▲국방부 로고
[마이데일리 = 김성호 기자]군 장병들이 급식으로 딸기우유나 두유를 먹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또 삼겹살 등 선호도가 높은 육류의 배식도 늘어날 예정이다.
조선비즈에 따르면 국방부는 6일 장병 선호도를 우선 고려한 ‘2023 국방부 급식방침’을 발표했다.
국방부는 새 급식방침에 따라 오는 4월부터 장병 1인당 1일 기본급식량을 폐지하고, 선호도를 고려해 급식품목과 수량을 자율적으로 선택하도록 변경했다. 장병들이 많이 남기는 콩나물을 줄이고 더 잘 먹는 시금치를 늘리는 식이다.
축산물의 부위·등급별 의무급식 비율도 폐지된다. 볶음용 돼지고기의 경우 목심 15%, 앞다리 15%, 국거리용은 양지 63%, 사태 37% 등 의무적으로 정해져 있던 비율이 올해부터 부대가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부대가 예산 범위 내에서 삼겹살 구매를 늘리고 다른 부위의 구매 비율을 줄일 수 있게 된 셈이다.
가공식품의 브랜드도 다양해진다. 올해부터 두부류, 설탕, 천일염, 식용유, 가공우유 등 일부 가공식품이 다수공급자계약 품목으로 전환돼 부대별(사단급) 식단 편성 자율성이 확대됐다. 이들 품목은 작년까지 단일업체 낙찰에 따라 선택에 제약이 있었다.
또 장병들의 선호도가 낮았던 흰 우유 급식 횟수도 줄어든다. 줄어든 만큼 가공우유와 두유, 주스류의 배식이 늘어난다.
아울러 장병의 외식요구를 충족하고 조리병 휴식 여건을 개선키로 했다. 지역사회와 상생하는 취지로 ‘지역상생 장병특식’ 사업이 부대 여건에 따라 시행되는 것이다. 이는 주둔지 식당과 연계해 장병들에게 1인당 1만3000원 상당의 외식 기회를 월 1회 제공하는 사업이다.
농·축·수산물 수의계약 비율은 작년과 동일하게 70%로 유지된다.
앞서 국방부는 2021년 발표한 군 급식 개선 종합대책에서 농·축·수협과 수의계약으로 하던 식자재 조달에 경쟁입찰 방식을 단계적으로 도입키로 했다. 2025년 이후에는 완전히 경쟁 방식으로 전환된다.
김성호 기자 shkim@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