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축구
[마이데일리 = 최용재 기자]다니엘 레비 토트넘 회장이 안토니오 콘테 감독을 경질했다. 콘테 감독은 2001년 토트넘 회장에 오른 레비 회장이 자른 11번째 감독이 됐다.
글렌 호들(2001-03)을 시작으로 자크 산티니(2004), 마르틴 욜(2004-07), 후안데 라모스(2007-08), 해리 레드냅(2008-12), 안드레 빌라스 보아스(2012-13), 팀 셔우드(2013-14), 마우리시오 포체티노(2014-19), 조제 무리뉴(2019-21), 누누 에스피리투 산투(2021), 안토니오 콘테(2021-23)까지 기어코 베스트 11을 채웠다.
콘테 감독이 경질된 결정적 이유로 지목된 발언. 선수를 향한 비판과 함께 레비 회장을 향한 비판도 들어 있었다.
"난 정말 화가 난다. 20년 동안 같은 구단주가 있었지만, 왜 아무것도 얻지 못했는가. 구단 혹은 이곳에 있던 모든 감독에게만 잘못이 있는 것인가. 모두가 함께 책임져야 한다."
콘테 감독이 모든 책임을 떠안고 물러났지만, 콘테 감독의 마지막 발언에도 귀를 주목해야 한다. 왜 모든 책임은 감독만 지는가. 레비 회장에게는 책임이 없는가. 콘테 감독은 자신의 직을 걸고 레비 회장도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한 것이나 다름없다.
스페인 '아스' 역시 토트넘의 하락세에 레비 회장의 책임이 크다고 분석했다.
먼저 이 매체는 레비 회장이 어떤 인물인지 상세히 설명했다. 레비는 2001년 회장으로 부임했고, 20년 넘도록 토트넘을 지휘했다.
22년 전 ENIC 그룹은 토트넘 지분 30%를 사들였고, 지금 지분은 85%가 넘는다. 레비의 가족은 ENIC 그룹 지분의 29.88%를 소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조 루이스 구단주 손에 있다. 루이스가 구단주이기는 하지만 그는 토트넘 행정에 관한 모든 권한을 레비에게 줬다.
레비 회장의 재산은 총 3억 2900만 파운드(5244억원)다. 영국 부자 순위 398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또 케임브리지 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한 레비는 선수 협상의 달인이다.
특히 토트넘 선수를 비싸게 파는데 최고의 전략가다. 레알 마드리드에 루카 모드리치와 가레스 베일을 팔았을 때, 가능한 최대한 높은 이적료를 책정했다. 특히 베일은 당시 1억 10만 유로(1404억원)로 세계 최고 이적료 신기록을 세웠다.
디미타르 베르바토프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팔 때 천하의 알렉스 퍼거슨 감독도 혀를 내둘렀다는 후문도 있다. 당시 퍼거슨 감독은 "레비와 협상은 내 엉덩이를 교체하는 것보다 더 고통스러웠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이게 전부다. 토트넘 선수를 비싸게 파는 것 외에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잇단 영입 실패를 만들었지만, 모두 감독의 책임으로 돌렸다. 콘테 감독 역시 "내가 원하는 선수가 아니라 구단이 원하는 선수를 영입했다"고 폭발한 바 있다.
그러면서 임기 중 11번째로 감독을 경질했다. 토트넘은 감독들의 무덤으로 변했다. 이런 행태에 토트넘 팬들은 분노하고 있다. 매 경기 때마다 "레비 아웃!"을 외치고 있다. 특히 토트넘 팬들은 포체티노 감독 경질에 대해 아직까지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아스'는 "포체티노 감독 아래 토트넘은 역동적이고, 공격적인 축구를 했다. 포체티노 감독은 UCL 결승으로 팀을 이끌었다. 레비가 포체티노를 경질했고, 이후 감독들은 하나같이 수비 축구를 했다. 공격축구는 사라졌다. 토트넘은 거꾸로 가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또 보수적인 투자에 대한 팬들의 불만도 크다. 이 매체는 "토트넘 팬들이 투자에 소극적인 레비를 비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짠돌이 레비는 이제 거의 고유명사가 됐다.
절대 권력을 행사하면서도 소극적인 투자 의지. 즉 최대한 적은 돈으로 최대한 많은 권력을 차지하려는 전형적인 장사꾼 기질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구단 최고 수장으로서는 어울리지 않는 모습이다. 이런 레비는 책임이 없는가.
[다니엘 레비 토트넘 회장. 사진 = 게티이미지코리아]
최용재 기자 dragonj@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