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직원 평균 자녀 수 1.55명으로 증가
포스코 남성 평균 결혼 나이 31.9세
'육아휴직' 대신 '육아몰입기간' 명칭 변경…가족·출산 문화 조성
[마이데일리 = 황효원 기자] 포스코 직원 평균 자녀 수가 연속 2년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부터 결혼, 임신, 육아 등 생애주기에 맞춰 가족 친화적인 복지 제도를 확대 적용한 노력이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11일 포스코에 따르면 직원 평균 자녀 수는 2022년 1.51명에서 2023년 1.54명, 올해 1분기 현재 1.55명으로 증가하고 있다.
직원들의 결혼과 출산 나이를 조사한 결과도 평균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 남성 직원은 우리나라 평균 남성 결혼 나이 34세 보다 2.1세 어린 31.9세에 결혼했다. 또 첫 아이 출산 연령도 31.1세로 국내 평균 33세보다 1.9세 어렸다.
포스코는 가족·출산친화 제도가 더 조직 속에 깊게 정착할 수 있도록 관련 문화 조성에 보다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아울러 쉬러간다는 인식이 강한 '육아휴직' 명칭을 육아의 가치를 담을 수 있는 '육아몰입기간'으로 바꿔 부르기로 했다. 육아몰입기간은 육아의 가치를 보다 존중받는 문화를 조성하고 육아휴직을 망설이는 직원들이 편안하게 육아에 전념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회사 측은 소개했다.
시범적으로 육아에 지친 직원들의 휴식을 보장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예를 들어 지난 5, 6월 열린 포스코 콘서트에 참여한 부모들의 육아를 대신하기 위한 '콘서트 현장 자녀돌봄 교실' 등을 들 수 있다.
콘서트 장에 두 자녀를 맡겼던 광양제철소 압연설비2부 서영태 리더는 "아이 돌봄에 대한 걱정 없이 간만에 아내와 마음 편히 콘서트를 관람할 수 있었다"며 "회사 측의 배려로 육아에 지친 마음을 달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돼 너무 감사하다"고 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올해는 직원들이 본인의 생애주기에 맞춰 사내 가족·출산친화 제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 안내를 강화하고, 현행 제도들에 대해서도 의견을 수렴해 직원들이 유연하게 제도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여건을 갖춰 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포스코는 육아기 재택근무, 지역별 어린이집 운영, 격주 4일제 등 결혼부터 임신·출산·육아 등 생애주기에 맞춘 20개의 가족·출산친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황효원 기자 woniii@mydaily.co.kr
- ⓒ마이데일리(www.mydaily.co.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